1. 최종목표 및 세부목표
2. 배경이론 및 핵심개념
3. 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종목표
및
세부목표
수용액의 전도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알아보고, 강전해질인 염화나트륨과 약전해질인 아세트산 용액의 전도도를 측정한다.
1. 수용액의 전도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이해.
2. 오스트왈트 희석율에 의해 아세트산의 해리상수를 계산.
배경이론
및
핵심개념
1. 전기 전도도
전기전도도는 물질이나 용액이 전류를 운반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용액 중의 이온세기를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서 전기저항의 역수(Ω-1)로 나타내나 현재는 국제적으로 S(Siemens) 단위가 통용되고 있다.
용액에 담겨 있는 2개의 전극에 일정한 전압을 가해주면 가한 전압이 전류를 흐르게 하며, 이때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용액의 전도도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어떤 전도체에 저항 R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ρ는 비저항(고유저항)(Ω·m)이고 l은 두 전극간의 거리(m), S는 단면적(m2)이다.
따라서 전기전도도 L은 다음과 같다.
참고자료
· 5월 15일 전기전도도,
· http://blog.naver.com/istek?Redirect=Log&logNo=110069228535
· 5월 15일 전기전도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1381
· 5월 15일, 수용액에서의 전기전도도 측정 http://samaking.blog.me/150018117936
· 5월 15일, 오스트발트의 희석법칙
· http://www.scienceall.com/dictionary/dictionary.sca?todo=scienceTermsView&classid=&articleid=253745&bbsid=619&popissu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