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윤봉길과 상하이 훙커우 공원 의거
목차
머리말
Ⅰ. 윤봉길의 국내 활동
Ⅱ. 의거 무렵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사정
Ⅲ. 훙커우 공원 의거의 역사적 의의
맺음말
보론 - 이봉창(李奉昌)의 사쿠라다몬(櫻田門) 의거
본문내용
머리말
1932년 4월 29일, 히로히토(迪官裕仁) 일황(日皇)의 생일과 일본 제국주의의 상하이 침략 전승을 기리는 행사가 있었던 훙커우 공원(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 있으며 소설가 루쉰(魯迅)의 이름을 따 루쉰 공원(鲁迅公园)이라 부르고 있다.)에서 폭발이 있었다. 이것은 당시 25살이었던 대한의 청년 윤봉길이 투척한 폭탄에 의한 것이었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상하이 침략의 선봉에 섰던 일본군 수뇌부 7명이 사상(死傷)하였다. 이것이 이른바 ‘도시락 폭탄 의거’로 알려진 윤봉길 의사의 상하이 훙커우 공원 의거였다. 현장에서 의거 직후 체포된 윤봉길은 군법으로 진행된 재판에서 살인 및 살인미수 폭탄물 취체(取締) 벌칙 위반으로 사형을 선고(宣告) 받았다.
최근 일본 외무성 사료관에서 발굴된 일본 제국주의의 새 자료에서는 한인애국단 윤봉길 의사의 의열투쟁으로 폭사한 상해점령 일본군 사령관 육군 대장 시라카와(白川義則)의 죽음을 ‘공무사망(公務死亡)’이 아니라 ‘전사(戰死)’로 규정한다고 밝혔다. 자료에서는 윤봉길 의사의 거사를 만주에서의 “조선독립을 위한 편의대원(민간복장의 무장독립군- 원(原) 인용자)의 공격과 같은 것”이라고 하였다. 당시 일제의 이러한 해석은 일제측도 비밀자료에서는 한인애국단의 활동이 본질적으로 만주 유격대 독립군과 같은 활동으로서 한국 독립운동의 특공작전임을 간접적으로 시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김구, 도진순 주해, 『백범일지』, 돌베개, 1997.
김강녕 외, 『윤봉길의 민족 사상과 상해 의거』, 도서출판 이경, 2008.
김학준, 『매헌 윤봉길 평전 - 선구자적 농민운동가 ․ 독립운동가의 생애』, 민음사, 1992.
신용하, 『백범 김구의 사상과 독립운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윤남의, 『윤봉길 일대기』, 정음사, 1975.
외솔회, 『나라사랑』 25집, 1976.
이민수, 『윤봉길 전』, 서문당, 1975.
이봉창 의사 장학회, 『이봉창 의사와 한국 독립 운동』,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2.
이현희, 『이봉창 의사의 항일투쟁』, 한국자료원, 1997.
하련생, 김승일 역, 『천국의 새- 상, 하』, 범우사, 2002.
홍인근, 『이봉창 평전- 항일애국투쟁의 불꽃, 그리고 투혼』, 나남출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