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대의 원자설
2. 근대의 원자설
3. 아보가드로의 법칙
4. 몰과 아보가드로 수
5. 물의 전기분해
6. 데이비의 발견
7. 전자의 발견과 물질의 전기적 본질 확립
본문내용
1. 고대의 원자설
원자의 세계는 우리 주위의 물체들에 비하면 아주 작은 입자의 세계이다. 원자의 반지름은 대충 1Å(1옹스트롬, 0.00000001cm)정도이다. 따라서 우리가 매일 대하는 물 한 컵, 설탕 한 스푼 같은 양에는 엄청나게 많은 원자가 들어 있다.
원자의 크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비유 중에 ‘시저의 마지막 숨’ 이라는 말이 있다. 로마의 황제 시저가 믿던 브루투스에게 암살을 당할 때 “브루투스 너까지도...”라는 말을 하며 마지막 숨을 내쉬었다고 한다. 그때 그 마지막 숨에 들어있던 공기 분자들이 지구의 모든 공기에 골고루 퍼져 있다고 하자.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숨을 들이마실 때마다 숨에는 시저의 마지막 숨에 들어 있던 분자가 평균 한두 개씩은 들어 있게 된다.
시저 이야기는 분자와 원자가 얼마나 작은가를 짐작하게 해준다. 분자가 작기 때문에 한숨에 많은 분자가 들어 있고, 분자수가 많기 때문에 그 수가 지구상의 공기 전체에 퍼져도 0.5ℓ부피 안에 한두 개가 들어 있게 되는 것이다. 공기의 주성분인 질소와 산소 분자는 두 개의 원자가 결합해서 이루어진 분자이다. 질소 원자를 N, 산소 원자를 O라고 표시한다면, 질소 분자는 N2, 산소 분자는 O2이다. 즉, 원자는 분자보다 더 작은 입자인 것이다.
사실 원자를 이루고 있는 소립자들에 비하면 원자는 큰 편이다. 한편 사람은 지구나 태양계, 또는 은하계에 비하면 대단히 작은 존재이다. 이와 같이 크고 작고 하는 것은 다 상대적인 이야기로 귀착된다.
우리는 원자라는 말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사용하지만, 과연 원자는 존재하는 것일까? 그리고 인류는 어떤 과정을 통해서 원자에 관한 확실한 지식을 얻게 되었을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