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대적 제휴-유사동맹 모델에 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11.12.09
- 최종 저작일
- 2010.07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한․일 안보관계가 그저 양자 간 만의 관계가 아니라는 것은 일본과 미국은 미․일안보 조약으로, 한국과 미국은 한․미 상호방위조약으로 연결되는 삼각관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일 관계는 실질적인 안보동맹을 맺은 것은 없지만 사실상 미국을 정점으로 한 안보삼각관계의 저변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계 미국학자인 빅터․차(Victor D. Cha)는 한․미․일 삼각안보관계를 “유사동맹(Quasi Alliance)모델”로 설명하였다.
이 보고서에서는 기존의 연역적인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한․일 협력 현상을 빅터․차의 “유사동맹 모델” 을 통해 한․일 동맹의 이론적 근거를 알아보고, 한․일 양국관계를 국제정치의 이론으로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탈냉전시대에 있어서 유사동맹 모델의 적절성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유사동맹 모델
제 3 장 한․일 관계의 이론적 고찰
1. 지정학이론으로 본 한?일 관계
2. 유사동맹 모델과 한일 관계
3. 구성주의 관점에서의 한일관계
제 4 장 유사동맹 모델의 적절성
제 5 장 결 론
본문내용
적대적 제휴는 실증적 검증을 통해 1969~1988년이라는 냉전기의 한․일 관계의 모습을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모델은 과연 냉전이 끝난 오늘날에도 적용될 수 있을까? 빅터․차는 탈 냉전기에도 유사동맹 모델은 여전히 한일 또는 한미일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효하다고 주장한다. 냉전은 끝났지만 동북아의 전략적 환경은 여전히 냉전시대의 과제를 넘겨받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 변수가 그 첫째이고, 중국의 위협이 그 두 번째이다. 이에 저자는 유사동맹 모델을 근거로 미국의 갑작스러운 철수가 불개입은 한․일 양국에게 오히려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양국은 갑작스러운 방기에 대한 반응으로 재무장과 핵무기 보유계획과 같은 ‘내부적 균형 강화정책’을 취하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은 미국이 동북아 지역의 점진적인 철수를 통해 한 걸음 더 나아가 한미일 사이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제안은 오늘날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에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참고 자료
빅터 D. 차. “적대적 제휴”. 문학과 지성사.
오코노기 마사오, 「일본과 북조선」 (동경PHP연구소, 1991), pp.93-101.
아즈마 끼요히코, “한일 안보관계의 ”갈등“과 ”협조“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01), pp.3-4.
안병환, 전게서, p.14.
홍규덕, “적대적 제휴” : 한국, 미국, 일본의 삼각 안보체제‘.
진창수,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과 한국의 대응” 「정세와 정책」동권 107호, (서울 : 세종연구소, 2005) p.2.
전재성, “구성주의 국제정치이론과 남북관계" 「교수논총」24집, (서울 : 국방대학교, 2002),pp.313-340
손 열, “역사 속에서의 21세기 일본” : 미국의 패권과 한일관계“. 「일본연구논문」14권. (서울:현대일본학회.2001) p.10
서정웅. “일본의 군사력 강화가 한국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25.
김대일. “한일 안보협력에 관한 고찰” : p.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