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산책 2차과제 오형엽 교수님
- 최초 등록일
- 2011.12.06
- 최종 저작일
- 2009.1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현대시사회 2차과제이구여 1차와 마찬가지로 오타없구 부분발췌 좋아서 남들과 똑같이 않습니다
목차
시의 계몽주의적 응전
- 1970년대 시의 지형도
1. 1970년대의 시대적 의미
2. 민중적 감수성의 시, 혹은 리얼리즘시
3. 도시적 감수성의 시
4. 자연과 생명의 탐구, 언어 실험을 통한 내면 탐색
5. 1970년대 시의 위상
현실 대응의 시적 전략
1. 1980년대와 현실 대응의 시적 전략
2. 형식파괴시와 해체시
3. 민중시의 전개와 노동시의 대두
4. 전통적 서정시의 계승과 신화적 상상력
현대와 탈현대의 경계에서
1. 서정의 다양성, 세대적 변별성
2. 도시적 일상성의 시 - 일상, 대중문화, 테크놀러지
3. 삶의 원형에 대한 탐색 - 자연, 생명, 환경
4. 서정시의 심화와 리얼리즘시의 변모
5. 여성성의 시 쓰기 - 어미, 무당, 주모, 새로운 존재론
6. 죽음의 시학, 신체의 시학, 무의식적 타자성의 시
본문내용
현대시산책 2차과제
시의 계몽주의적 응전
- 1970년대 시의 지형도
1. 1970년대의 시대적 의미
1970년대의 시대적 상황은 크게 두 가지 시각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치적 상황을 바라보는 시각과 사회, 경제적 상황을 바라보는 시각이 그것이다. 우선, 1970년대 초 우리 사회는 삼선개헌의 여파와 유신 체제에 의한 공화당의 장기집권 야욕으로 정치적 불안과 긴장이 고조되었다. 따라서 4․19에 의해 점화되고 6․16에 의해 좌절되었던 민주화의 열망이, 유신 체제에 대한 대항으로 전개되기 시작한다. 아울러 1970년대는 1960년대 말부터 시작된 산업화의 여파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면서 경제적 모순과 인간의 소외를 가중시켰다. 억압된 정치 체제에 대한 대항이 자유와 민주화의 과제로 연결된다면, 경제적 모순과 부조리에 대한 대항은 인간의 평등과 인간성 회복에 대한 과제로 연결된다.
따라서 1970년대는 정치적인 측면에서의 민주화의 문제와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평등의 문제가 서로 부딪히면서 갈등을 빚는데, 이것이 1970년대의 시대적 상황을 규정하게 된다.
따라서 시의 영역에 있어서도 인간의 자유와 민주화를 위한 실천적인 저항 운동과, 산업화에 따른 제반 모순에 대항하려는 미적 응전이 뒤따르게 된다. 즉 1907년대 시는 민주화와 산업화의 두 가지 추세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그 시대적 변별성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1907년대의 시대적 상황과 문학적 특징은 1960년대의 그것에서 크게 벗어난 것은 아니었다. 그러므로 1907년대 시가 보여주는 일반적인 경향은, 1960년대의 그것이 어떻게 발전되며 변증법적으로 지향되는가라는 측면에서도 이해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1970년대 시를 분류할 때, 우선 시대적 변별성을 비교적 분명히 보여주는 경향으로서 민중적 감수성의 시와 도시적 감수성의 시를 들 수 있다. 민중적 감수성의 시는 주로 억압적인
정치 체제와 그 폭력에 맞서 민주화와 인간의 해방을 추구하였고, 도시적 감수성의 시는 산업화의 여파로 파생된 사회적 부조리와 인간의 소외를 문제 삼았다. 그리고 이 두 경향 이외에 1960년대 이전부터 지속되었던 경향으로, 전통적 서정시와 언어를 통한 내면 탐구의 시를 들 수 있다. 전통적 서정시의 흐름을 계승한 시들은 자연과 생명의 근원에 대한 탐구를 통해 서정성을 추구하였고, 내면 탐구의 시는 언어 실험을 통해 현대인의 복잡한 내면 의식을 천착하였다.
2. 민중적 감수성의 시, 혹은 리얼리즘시
1970년대에 큰 흐름을 보여주기 시작한 민중시, 혹은 리얼리즘시는 민족문학론의 연장선에서 형성된 민중 문학의 한 장르 개념이다. 이는 1960년대의 참여시를 계승한 지점에서 당대의 민족적 요구에 적극 부응해 나가는 실천적 의식을 토대로 한다. 1970년대에 이러한 경향을 보여준 시인들은 대부분 신인들로서, 김지하, 김준태, 이시영, 정희성, 양성우 등을 들 수 있다.
김지하는 신론 「풍자냐 자살이냐」를 통해 1960년대 참여의식을 보여준 김수영의 시적 한계를 비판하면서 민중적 현실의 토대 위에서 자신의 시세계를 전개하였다. 「황토길」을 통해 1970년에 등장한 그는 판소리, 탈춤, 서사민요 등의 전통 연희양식을 현대적으로 재현하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