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목적
2. 이론
3. 실험방법
4. 실험 결과
5. 실험결과 정리 및 검토
6. 결론
7. 참고문헌
8. 부록
본문내용
3. 실험방법
① 실험용 열교환 장치(단일관 또는 관군)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면, 투명 플라스틱 창의 고정너트 4개를 제거하고, 실험용 열교환 장치 설치 평판으로 교체한 후, 고정시킨다.
② 단일관 실험인 경우, 평판 가운데 구멍에 원통형 가열요소를 삽입하고, 연결플러그(lead plug)를 콘솔 계기판 상에 소켓에 연결한다. 만약 관군에 대한 실험인 경우, 관군 첫 번째 열의 가운데 위치에서 개방되어 있는 구멍에 가열요소를 삽입하고, 나머지 두 번째 이후의 열에서 개방된 구멍들이 있으면 여유(dummy) 원통을 설치한다.
③ 단일관의 경우, 채널의 흡기 압력공과 상부 액주계 왼쪽 구멍을 연결한다. 만약 관군에 대한 실험이면, 채널의 흡기 압력공과 하부 액주계 왼쪽 구멍을 연결한다.
④ 계기판의 메인 스위치를 켜고, 채널 내부의 유속을 최저로 유지한다. 최저 속도에 대한 액주계 높이는, 단일관의 경우 약 4 mm H2O ()이고, 관군인 경우 약 1.6 mm H2O ( )이다.
⑤ 전압선택스위치를 70V 로 선택하고, 지시되는 가열요소의 표면온도()가 약 95°C를 유지하도록, 계기판 상의 변압기에 의하여, 가열기를 제어한다. 낮은 공기 유속에서는 열전달률도 작으므로, 가열기 전압을 조정할 때마다 계의 안정성을 보장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야 한다.
⑥ 가열요소의 표면온도 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면, 정상상태라고 가정하고 표면온도 , 채널 내의 공기온도 액주계 높이 H ( mm H2O ), 와 공급전압 V 등을 기록한다.
⑦ 채널 내의 공기 유속을 요구되는 값으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송풍기 속도를 조정한다. 단일관에서는 약 10 mm H2O 간격으로 증가시키며, 관군의 경우에는 약 1.5 mm H2O 간격으로 증가 시키며 H를 조정한다.
⑧ 가열요소의 표면온도 가 원래의 값( 약 95°C )을 유지하도록 가열기 전압을 재조정한다.
⑨ 다시 정상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린 후, 표면온도 , 채널 내의 공기온도 , 액주계 높이 H( mm H2O ), 와 공급전압 V등을 기록한다.
⑩ 과정 ⑧~⑩을, 실험하려는, 최대공기 유속에 도달 할 때까지 반복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