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성균관
- 최초 등록일
- 2011.11.15
- 최종 저작일
- 2008.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a+자료입니다
목차
1. 성균관의 건립과 발전
2. 성균관의 교육
1) 목적
2) 교육과정
3) 평가
3. 성균관의 유생
1) 입학자격과 정원
2) 학생의 교제와 활동
4. 성균관의 교관
5. 성균관의 교육재정
본문내용
4. 성균관의 교관
『경국대전』에 성균관 교관의 직제를 다음과 같이 정하였다. 성균관의 교관은 지사 1명, 동지사 2명, 대사성 1명, 사성 2명, 사예 3명, 직강 4명, 전부 13명, 박사 3명, 학정 3명, 학록 3명, 학유 3명 등 모두 38명이었다.
성균관 교육의 책임자였던 대사성이 갖추어야 할 자질을 기준으로 성균관의 교관이 되기 위한 자격을 살펴보면 가장 먼저 학문적 능력, 특히 경학에 능통해야 하였다. 성균관 유생들을 경학에 밝고 성리학적 이념을 내면화한 관료로 양성하기 위하여 교육하는 것이 교관의 가장 중요한 임무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학식을 갖추었다고 해서 성균관의 교관으로 임명될 수는 없었다. 성균관의 교관은 유생들과 생활하면서 그들의 모범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질고 덕이 있어야 하였다. 또한 교관은 어느 정도의 연륜, 즉 나이가 들어야 할 수 있었다. 교관이 나이가 많고 경험이 풍부해야만 유생들이 잘 따르고 교육적으로도 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유학을 공부하던 성균관 유생들에게는 오륜의 하나인 장유유서를 지키는 것도 중요하였기 때문이다.
성균관 교관을 학식과 덕망을 갖춘 사람으로 임명하여 유생들을 교육하려 하였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였다. 성균관 교관은 형식적으로만 중시되고 있었을 뿐 실제로 지배층은 교관의 학문적 자질을 의심하는 등 교관을 천시하고 있었다. 지배층 내에서 교수관을 한직으로 여기고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은 유생들이 스승을 경시하는 풍조를 낳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조선 후기에 이르면 성균관 교관은 더욱 한직으로 여겨져 관리들이 직책을 맡기 꺼려하였고, 성균관 교관으로 임명되면 여러 가지 이유를 대며 사직하는 경우도 많았다.
5. 성균관의 교육재정
성균관 유생들은 성균관 내에서 기숙하였는데, 유생들의 생활과 교육에 필요한 모든 경비는 나라에서 지급하였다. 국가에서는 학전(學田), 어장(漁場), 노비 등을 지급하여 그곳에서 나오는 수입으로 재원을 삼았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학전은 갈수록 줄어든 반면에 노비는 오히려 늘어나서 성균관의 재정을 충당하는 주요 대상이 되었다.
참고 자료
박의수 외 3인. 《교육의 역사와 철학》. (동문사. 2003)
정낙찬, 이동기, 채휘균. 《한국의 전통교육》. (영남대학교출판부. 2000)
국사편찬외원회. 《배움과 가르침의 끝없는 열정》. (두산동아.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