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감사합니다.
목차
Ⅰ.머리말
Ⅱ.고분출토지역과 유물의 종류
Ⅲ.청자의 기종및 기형
Ⅳ.수요자와 출토청자의 특징
Ⅴ.맺음말
본문내용
Ⅰ.머리말
중세의 시작이 고려이고, 고려시대의 물질문화상을 파악하는 것이 중세고고학의 중요 역할임에도 불구하고 자기류를 중심으로 한 유물 연구에 치중되고 있고, 유적 유구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한 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고에서는 고려시대의 무덤을 대상으로 시기별, 지역별 변화상을 파악하고 사회, 문화상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무덤은 이를 구성하는 묘역 시설과 매장 주체부, 부장품 등 다양한 요소들이 당시의 묘제와 장제를 배경으로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당시의 문화적 계통과 지역성, 사회적 법제 등을 연구하기에 좋은 자료가 된다. 고려시대 무덤은 단순하게 현재 잔존하고 있는 무덤의 특징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삼국시대의 전통적인 무덤의 축조방식에서 고려시대의 무덤의 축조방식까지 무덤의 변천과정을 모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지방 지배층의 무덤부터 하위 계층의 무덤까지 모두 확인되어 분묘의 계층성과 사회상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무덤의 유형별 분류기준을 제시하고, 각 무덤 유형의 지역 분포 양상을 파악하도록 하겠다. 이렇게 파악된 고려시대 무덩을 대상으로 무덤 유형별 구조와 출토유물을 분석한 후, 출토유물의 편년을 기준으로 각각의 특징 및 편년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러한 무덤 유형별 편년결과를 토대로 고려시대 전반에 걸친 고려시대 무덤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사회적 배경을 살펴본다
참고 자료
양미옥, 「충청지역의 고려시대 무덤연구」, 『考古와 民俗, Vol.10 』(한남대학교 박물관, 2007)
고현수, 「남한지역 고려 고분의 부장품 매장방식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남진주, 「충청지역 고려고분 부장품의 양식」, 『고려시대 분묘출토 청자유물 특별전』(강진 청자박물관, 2007), p. 99.
현문필, 「고려시대 고분출토 청자연구」동국대학교 2006, p. 5.
申千湜 ․ 嚴益成,「더부골(1) 古墳群 發掘調査報告」,『高陽 中山地區 文化遺蹟』, 漢陽大
學校博物館 ․ (京畿道, 1993).
한양대학교박물관안시성,『安山大阜島六谷高麗古墳發掘調査報告書』,2002.
명지대학교박물관,『용인좌항리고려묘군발굴조사보고서』,1994.
엄익성「고려시대고분에 대한 일고찰-좌항리 고분군을 중심으로」,『고려시대의 용인』,
용인시․용인문화원,1998. pp. 245~290.
韓國文化財保護財團․韓國土地公社,『慶山林堂遺蹟』(Ⅰ)~(Ⅵ),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