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학과 적용 (Theology & Application)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신학
1. 신학형성의 목적
2. 신학형성의 방법
1) 해당본문의 신학적인 위치를 정하라.
2) 해당 본문에 의해서 제기되거나 해결되는 특정한 문제들을 찾아내라.
3) 해당 본문의 신학적 기여를 분석하라.
3. 신학형성에 도움이 되는 서적들
1) 신학 사전
2) 구약 신학서들
3) 기독교 신학서들
4. 실례
Ⅲ. 적용
1. 적용의 목적
2. 적용의 방법
1) 삶의 문제들을 목록으로 작성하라.
2) 적용의 성격을 분명히 하라.
3) 적용이 가능한 분야(믿음 or 행위)를 분명히 하라.
4) 적용의 대상(청중)을 확인하라.
5) 적용의 범주들을 확정하라.
6) 적용의 시간 초점을 결정하라.
7) 적용의 한계들을 확정하라.
3. 주의사항
4. 적용에 도움이 되는 서적
5. 실례
Ⅳ. 나가는 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지금까지 본문비평, 역사비평, 문학비평, 양식비평, 전승비평, 편집비평, 정경비평, 구조주의 비평, 문법 비평(통시적 방법과 공시적 방법)을 통해 구약주석의 다양한 방법들을 배웠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원론적인 질문을 다시 해야 한다. ‘구약주석방법론을 배워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바로, 설교를 위함이다. 설교를 위한 주석이 아니라면, 그 주석은 ‘적용’이라는 의무를 갖지 않게 된다. 주석의 최종 종착지는 교회 안에서의 설교 더글라스 스튜어트, 구약주석방법론: 신학생과 목회자를 위한 지침서 박문재 역,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2004), p.6.
라고 할 때, 주석은 적용으로 나아가야만 한다.
설교자는 주석 작업 후 ‘적용’으로 나아가는데, 적용하기 전에 하는 작업이 있다. 그것은 신학 작업이다. 신학 작업이란, 성서 주석의 결과로 신앙의 경험적인 측면, 이론적인 측면, 인식론적인 측면을 체계화하는 것을 뜻한다.
이런 설교자의 주석 작업(신학과 적용)은 사실 성서의 기능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성서는 기독교의 역사를 세워주며 신앙과 신학 형성의 결정적인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읽고 가르치고 선포하는 대상과 다양한 개인적 삶의 지표가 된다.
학문적으로서 신학과 적용은 각각 성서신학과 해석학 고든 D. 피, 더글라스 스튜어트 공저,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오광만 역, (서울: 성서유니온선교회, 2008), p.31. 해석학(hermeneutics)이라는 용어는 본래 석의(釋意 ; exegesis)를 포함하는 것이지만 다음과 같이 구분해서 볼 수도 있다. 본문이 본래 의미한 바가 무엇이었는가를 밝히는 것을 석의(exegesis)라고 하며, 그러한 본문의 의미를 오늘날 우리들의 이런 전한 다양한 정황
참고 자료
더글라스 스튜어트, #구약주석방법론: 신학생과 목회자를 위한 지침서# 박문재 역,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2004.
고든 D. 피, 더글라스 스튜어트 공저,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오광만 역, (서울: 성서유니온선교회), 2008.
헤이즈, 할리데이 공저, #성경주석학#, 김근수 역. (서울: 나단), 1991.
윌리엄 W. 클라인, 크레그 볼롬버그, 로버트 하버드 공저, 「성경해석학총론」, 류호영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7.
Odil Hannes Steck. #Old testament exegesis : a guide to the methodology#. Atlanta : Scholas Press,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