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1920년대의 문예사조를 극복한 김소월과 한용운을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11.10.28
- 최종 저작일
- 2009.09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충실한 리포트가 될 것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우리나라 1920년대의 문예사조의 한계
1. 낭만주의와 한계
2. 계급주의 문학과 한계
3. 시조부흥 운동과 한계
Ⅲ 우리나라 1920년대의 문예사조를 극복한 시인
1. ‘김소월’과 ‘한용운’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문예사조란 문학예술에 나타난 사상적 흐름, 즉 문학예술의 역사에서 이정표가 되거나 과거와 현재의 문학예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사상적 흐름을 일컫는다. ‘르네 웰렉’은 문예사조를 특정한 시기를 지배하는 문학예술의 규범 체계라고 설명했다.
문예의 사상적 흐름은 개별 작품의 주제나 작가의 내면의식에서 추출되는 것이라기보다는 작품들을 통해 현현하는 시대적, 집단적 현상으로 파악되는 것이고 작품의 형식을 통해서 표현을 얻은 사상들이 지닌 특색으로서 파악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문예사조는 특정한 시기에 특정한 집단의 사람들이 일정하게 같은 지향이라고 할 수 있는 사상 경향을 가짐으로써 상이한 제재를 다룬 작품에서일지라도 유사한 스타일이나 풍격을 엿보일 때 인지될 수 있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예사조 개념은 문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모든 사물의 이해에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분류이다. 사물이 지닌 특성의 본질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그것들의 동일성과 차이점을 살피는 것이 사물 인식의 기초인 것이다. 이런 점에서 문학에 대한 이해는 개별 작품의 이해와 함께 작품들이 서로 연관되고 차이 지어지는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심화될 수 있다.
~
Ⅱ 우리나라 1920년대의 문예사조와 한계
1920년대에 들어서자 여러 문학 동인지가 창간되고 다수의 시인들이 등장하면서 우리 현대시는 본격적인 성장 단계에 접어들었다. 이미 1919년에 창간된 동인지 <창조>에 이어 <폐허>(1920), <장미촌>(1921), <백조>(1922) 등이 나왔고, 이와 함께 본격적인 문학잡지 <조선문단>(1924)과 종합 잡지 <개벽>(1920) 등도 간행되어 문학 활동의 터전을 넓혔다.
이러한 시인과 발표 지면이 많았던 만큼 이 시기의 시는 경향도 다양해지기 시작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두드러진 집단적 현상으로는 우울한 시대 의식과 개인의 절망을 노래한 낭만주의적 경향, 사회적 모순에 대한 투쟁을 내세운 경향파-프로문학의 입장, 한동안 소홀히 되었던 전통적 시 형식인 시조를 현대적으로 되살리자는 운동 등을 들 수 있다.
1. 낭만주의와 한계
우리나라 1920년대 전반에 팽배해 있던 낭만주의는 한국현대시에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그 한계는 무엇인지 알아본다.
1920년대의 시는 1910년대의 ‘최남선’
~
참고 자료
-최유찬, <문예사조의 이해>, (주)실천문학, 1995.
-김병걸, <문예사조, 그리고 세계의 작가들>, 도서출판 두레,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