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의 유파
- 최초 등록일
- 2011.10.26
- 최종 저작일
- 2011.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판소리의 유파에 대한 리포트 입니다.
전공생이 직접 써서 정확하고
전승계보와 유파별로 정리를 해놓았습니다.
목차
1. 유파(流派)의 사전적 의미
2. 유파(流派)의 개념
3. ‘제’의 범위
4. ‘제’의 용례
5. 유파별(`제‘) 특징
6. 유파의 ‘구분기준’의 한계
7. 올바른 유파의 이해
본문내용
1. 유파(流派)의 사전적 의미
원줄기에서 갈려 나온 갈래나 무리.
즉, 주로 학계나 예술계에서 생각이나 방법 경향이 비슷한 사람이 모여서 이룬 무리
2. 유파(流派)의 개념
생성원인 : 판소리가 발전하여 다양해지자 판소리 창자들 사이에 서로 음악적 특성을 달리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판소리를 간추려서 이해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즉, 다양한 판소리를 몇 가지 특성에 비추어 유형화함으로써 구분을 해본 것이 ‘제’ 라는 개념으로 형성되었다는 말이다.
3. ‘제’의 범위
판소리 ‘제’는 흔히 유파(流派)의 개념으로 쓰인다. 그러나 ‘제’라는 말이 유파에만 한정되어 쓰이지는 않으며, 보다 더 광범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제’라는 말은 ‘법제(法制)’ 또는 ‘제작(製作)’이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흔히 ‘소릿제’라고 하며, 이를 줄여서 ‘제’라고 한다.
※제 ⊃ 유파
4. ‘제’의 용례
1) 더늠: ‘권삼득제 제비가’ , ‘고수관제 사랑가’와 같은 경우.
2) 바디: ‘송만갑제 <춘향가>’, ‘유성준제 <수궁가>’, 등과 같은 경우.
3) 조(調): 덜렁제(설렁제), 설움제, 호령제, 석화제, 경제 등의 경우.
4) 유파(流派): 동편제, 서편제, 중고제, 강산제(보성소리), 동초제 등의 경우
5. 유파별(`제‘) 특징
기준 : 전승 지역· 전승 계보 · 음악적 특성
1) 동편제
●전승 지역- 섬진강 동쪽 지역인 남원 ·순창 곡성 구례 홍덕 등지에 전승된 소리.
●전승 계보- 가왕으로 일컬어지는 순조때의 명창 송흥록과 송광록, 송우룡, 송만갑 등의 송씨 가문을 주축으로 하여 발달한 소리제로 송우룡의 제자 유성준, 이선유등이 후진을 길러서 동편제 소리가 전승되게 하였다. 또한 순창 출신의 김세종, 충청도 비갑이로 전북 여산에서 말년을 보낸 정춘풍도 동편제를 전승하였다.
●음악적 특성- ‘막자치기 소리’ 라고 표현할 수 있다. ‘막자치기’란, 창법에서 특별한 기교를 부리지 않고 “목으로 우기는 소리”를 말한다. 따라서 동편제 소리를 제대로 하려면 선천적으로 풍부한 성량을 타고나야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비기교성이란 말로 대체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