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의 치료와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11.10.26
- 최종 저작일
- 2011.10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간암의 구조부터 진단, 치료, 간호과정까지 자세히 기술
목차
Ⅰ. 간의 위치 및 구조
본문내용
Ⅰ. 간의 위치 및 구조
1. 간의 위치
간은 1.5~2kg으로 선(gland)으로 된 기관 중 가장 크다. 간은 우상복부에 위치하며 흉관속에 들어 있다. 우측 횡격막(diaphragm) 바로 아래에 일부가 횡격막에 부착된채로 거의 대부분이 늑골(rib)과 늑연골(costal cartilage)로 이루어진 흉곽안에 들어가 있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를 받고 있다. 간 표면의 대부분은 장측복막(visceral peritoneum)이라는 얇은 막으로 덮여있는데, 무장막구역(bare area)이라고 하는 부분은 장측복막으로 덮여있지 않고 횡격막과 직접 부착되어 있다.
2. 간의 구조
간은 낫 모양의 인대에 의해 우엽과 좌엽으로 나누어 지며 우엽이 약 2/3가량의 용적을 차지한다. 우엽과 좌엽 사이에는 방형엽(quadrate lobe)과 미상엽(caudate lobe)이 놓여 있어 총 4엽으로 구성된다. 가은 다시 간소엽으로 나뉘어지며 간소엽은 간의 기능적 단위인 간세포(hepatocyte)로 구성된다. 우측 상복부에 매달려있을 수 있도록 간과 횡격막, 후복막 등을 연결해주는 구조물들이 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겸상인대(falciform ligament)로 간을 좌엽(left lobe)과 우엽(右葉: right lobe)으로 나누는 경계가 된다.보통 좌엽보다 우엽이 5~6배 정도 더 크고 두꺼우며, 이 좌엽과 우엽의 경계부 하방으로 간동맥(hepatic artery), 문맥(portal vein), 담관(bile duct), 림프관(lymphatic duct)이 지나가는 부분인간문(hepatic hilum)이 있다
3. 간의 혈액공급
간은 2개의 주요 혈관에서 혈액 공급을 받는데,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심장에서 간으로 전달해주는 간동맥을 통해 약 1/4의 혈액을 공급받고, 영양분과 대사물질 및 해독이 필요한 독소 등을 운반하는 간 문맥을 통해 약 3/4의 혈액을 공급받는다. 간동맥을 통해서는 다른 장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산소가 풍부한 동맥혈이 유입되어 간세포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고, 문맥을 통해서는 위나 장에서 흡수된 영양분 등을 포함한 정맥혈이 유입되어 간에서 영양분의 가공처리 및 저장과 독소의 해독이 이루어지게 한다.
간동맥을 통해서는 분당 400ml 정도의 혈액이 유입되고, 문맥을 통해서는 분당 1,200ml 정도의 혈액이 유입되므로, 간의 혈액공급은 간동맥을 통해서 1/4 정도, 문맥을 통해서 3/4 정도가 이루어진다.
참고 자료
1. 국가암정보센터(http://www.cancer.go.kr/)
2. 성인간호학 상, 전시자외, 2005, 현문사
3. 건강사정, 최공옥외, 2003, 현문사
4. 질병에 따른 간호과정과 임상경로, 임난영외, 2000, 현문사
5. 사비스톤 외과학, 사비스톤 편찬위원회, 2003, 도서출판 정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