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 Ash is one of the general component of foods. Ash is a remaining portion when foods are completely burned, and the amount of ash is defined as the amount of minerals. This experiment measured crud ash contents of strong flour and weak flour using dry ashing method. Crud ash contents of strong flour was 0.43% and weak flour was 0.43%.
Key words : crude ash, strong flour, weak flour, dry ashing method
서 론
식품에서 회분이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일정 온도에서 연소하여 잔존하는 재의 양을 말하며, 식품 중의 무기질의 총량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회분과 사실상의 무기질 총량과는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1). 대다수의 식품에서 무기질인 염소는 그 일부 또는 대부분이 회화할 때 소실되기 때문이다. 또한 두류, 채소류, 해조류 등의 회분에는 본래 유기질이라고 볼 수 있는 탄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식품을 태워서 남은 재를 순전히 무기물 자체라고 인정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잔회의 성질은 식품의 종류와 회화의 조건에 따라서 변하며 일정한 것이 아니다.
참고자료
· 1. 주현규. 식품분석법. 학문사. 서울. pp. 321-325 (2001)
· 2. 김덕웅, 신성균, 유춘철, 임혜영. 그림으로 본 식품분석 및 위생실험. 석학당. 서울. pp. 135-139 (2007)
· 3. 노봉수, 김석중, 김영석, 이광근, 이재환. 식품 분석학. 수학사. 서울. pp. 120-123 (2008)
· 4. 이근보, 양종범, 고명수. 쉬운식품분석. 유한문화사. 서울. pp. 172-175 (2006)
· 5. 김상화, 이영택, 장학길, 원준형, 남중현. 국산밀을 이용한 white layer cake의 제조 적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4(2). pp. 194-199 (2002)
· 6. 이상양, 허한순, 송정춘, 박남규, 정우경, 남중현, 장학길. 국산밀과 수입밀의 국수품질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29(1). pp. 44-50 (1997)
· 7. 오명석, 김혜영B. 우리밀과 수입밀을 이용한 제빵 적성 비교 및 저장 기간 중 특성 변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6(1). pp. 27-32 (2001)
· 8. 김용순, 김형수. 메밀가루와 밀가루 복합분의 건면 제조시험. 한국영양학회논집. 16(3). pp. 146-153 (198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