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판소리 즉흥적 성격][판소리 역사][판소리 가창방식][장단][기보법][웃음]판소리의 종류, 판소리의 즉흥적 성격,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가창방식,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기보법, 판소리의 웃음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1.10.19
- 최종 저작일
- 2011.10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판소리의 종류, 판소리의 즉흥적 성격,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가창방식,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기보법, 판소리의 웃음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판소리의 종류
Ⅲ. 판소리의 즉흥적 성격
Ⅳ. 판소리의 역사
Ⅴ. 판소리의 가창방식
1. 추임새
1) 관중의 추임새
2) 고수의 추임새
2. 너름새
3. 단가
Ⅵ. 판소리의 장단
1. 진양(진양조)
2. 중모리(중몰이, 중머리)
3. 중중모리(중중몰이, 중중머리)
4. 자진모리(잦은모리, 잦은몰이, 자진머리)
5. 휘모리
6. 엇모리
Ⅶ. 판소리의 기보법
Ⅷ. 판소리의 웃음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판소리의 형성은 대체로 17세기에서 18세기 초까지로 잡는다. 이 시기에는 대부분의 판소리 광대들이 무계巫系이거나 무계와 관련이 많았으며 무계와 판소리의 선율이 육자백이 시나위조로 서로 일치하는 점은 이 사실을 증명한다.
판소리 초기의 생성과정이 무가巫歌와 굿에 관련이 있고 사회적 기반 또한 농민이나 어민 등 평민층이었다. 판소리 광대가 충원되고 전국 방방곡곡을 무대로 삼게 된 데는 조선 후기 민중의 삶을 통해 알게 된다. 농업기술이 발달하게 되고 소작농과 지주의 구분이 심화되면서 대부분의 농민이 소작농으로 전락하여 민중들의 삶이 더욱 피폐해진다. 이러한 사회적 모순이 점점 증가하고 심한 흉년으로 농민들이 농토를 떠나는 이농현상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조선후기의 유랑연예인은 농토에서 이탈한 농민들이 더러는 도적이 되기도 하고, 더러는 사찰 등에 기탁하여 정역을 면하기도 하고, 일부는 자신들이 가진 예능, 기술, 곡예를 수단으로 생계를 유지하였다. 이렇게 충원된 연희집단 중 판소리와 관련된 연희집단은 창우집단이며, 그들의 주요 레퍼토리는 가창뿐 아니라 기악, 무용, 곡예, 연희의 공연, 무가의 반주, 무악의 연주, 축원고사 의식 연행 등이었다. 특히 창우집단은 그들 나름의 결속력도 공고했으며, 이들 연희를 세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 자료
김대행, 판소리란 무엇인가,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 지성사, 2000
국립민속국악원, 명창을 알면 판소리가 보인다, 국립민속국악원, 2000
설중환, 판소리 여섯마당 뜯어보기, 나남출판, 2000
인권환, 판소리 창자와 실전 사설 연구, 집문당, 2002
정병헌, 판소리와 한국문화, 역락출판사, 2002
판소리 다섯마당 : 해설과 주석을 단 사설집, 한국 브리태니커,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