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의 이해 시간에 중간고사 대용으로 쓰는 리포트입니다.
셤 대용이기 때문에 정성껏 준비를 했습니다..
여러분에게 좋은 자료이길 바래염~~~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부조리극에 대하여
(1) 부조리극의 배경
(2) 부조리극의 특징
2. 프랑스 작가들
(1) Eugene Ionesco
(2) Samuel Beckett
(3) Jean Gent
(4) Arthus Adamor
3. 미국 작가들
(1) Edward Albee
4. 영국작가들
(1) Harold Pinter
(2)Annold Wesker
5. Samuel Beckett의 Waiting for Dodot에 대하여
(1) 주제를 어떻게 연극화했는가
(2) 진리의 현장 부재와 부조리 인식
(3) 시간의 파괴력
(4) 비 아리스토텔레스적 소극 - 몸체의 연극
(5) 소격 효과
6. 우리 나라에서 공연한 부조리극 - 서울 연극 앙상블의 「코뿔소」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조리라는 말은 원래는 조리에 맞지 않는 것이라는 논리적 의미만을 표시하는 말이었으나 반(反)합리주의적인 철학이나 문학, 특히 실존주의 철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용어가 되었다. J. P. 사르트르의 소설「구토(嘔吐)(1928)」에서는 마로니에 나무의 뿌리와 같은 '사물 그 자체'를 직시할 때에 그 우연한 사실성(事實性) 그것이 부조리이며 그런 때에 인간은 불안을 느낀다. 이것은 M. 하이데거나 S. A. 키에르케고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A. 카뮈는 그것을 다시 일보 전진시켜「시지프의 신화,1942)」에서“부조리란 본질적인 관념이고 제1의 진리이다”라고 하여 세계에 대한 인간의 근원적인 태도를 부조리라고 규정하였다. 원래 부조리한 세계에 대하여 좌절을 각오하고 인간적인 노력을 거듭하여 가치를 복권하는 것이 카뮈의 부조리에 대한 주장이었다. 따라서 카뮈의 경우 부조리는 당연히'반항적 인간'을 낳는 것이다. 이리하여 부조리의 사상은 F. W. 니체 등과도 유연성(類緣性)을 갖게 된다. 어떻든 간에 R. 데카르트 이래의 근대 합리주의적 가치관에 대결하여 그것과는 다른 곳에서 새로운 가치를 찾을 때 부조리는 비로소 그 본래의 문제성을 나타내는 말이 된다.
참고자료
· * 김갑순, 희곡론, 이대출판부(1964-1980), P156-162
· * 김세영외, 연극의 이해, 새문사(1989-1999), P 302-309
· * 박정근·방인태·오겸심·최영애 공저, 연극을 어떻게 볼 것인가, 도서출판 동인, 1996, P251-252, 273-278
· * http://100.empas.com/entry.html/?i=78693&Ad=photorental
· * http://www.kcaf.or.kr/zine/artspaper93_03/19930318.htm
· * http://www.kcaf.or.kr/zine/artspaper94_05/19940506.ht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