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암 (해부,생리)
2. 위암의 분류
3. 위암의 원인
4. 위암의 증상
5. 위암의 진단
6. 위암의 치료
7. 간호
Ⅱ. 환자사정
1. 간호력, 환자정보
Ⅲ. 치료 및 경과
1. 초기자료
2. 투약
3. 진단검사
4. 특수검사
5. 치료 및 경과
Ⅳ. 간호과정
1. 통증호소로 나타나는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2. 환자의 궁금증으로 나타난 수술과 관련된 지식부족
3. 수술 부위와 관련된 기도청결의 비효율성
본문내용
1. 위암
위암은 상피세포에서 유래되는 원발성 선암(primary adenocarcinoma)으로 용종, 궤양성, 침윤성 형태로 발생한다. 종양의 성장은 불연속의 종양결절이 형성되거나 확장되는 형태로 진행되며, 세포침윤에 의해 이루어진다. 악성종양은 위의 내막에 존재하는 점액 분비 세포에서 발생되는데 유문부와 위동 부위에서 보다 흔히 발생되며, 특히 위 소만부를 따라 발생한다. 최근에는 위 분문부에서의 종양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위암의 전이는 위벽을 통해 인접조직인 림프관, 위의 국소 림프절, 식도, 췌장, 비장, 간 등으로 직접 전이되거나 혈류를 통해 폐나 뼈로 전이되며, 국소 림프절 침범이 초기에 발생한다. 침범의 깊이와 전이의 정도에 의해 예후가 결정된다.
*발생부위
․유문동 > 위체부 > 기저부 > 위-식도연접부
2. 위암의 분류
(1)adenocarcinoma(선암)
①EGC(조기 위암)
-정의: regional LN전이와 상관없이 점막층,점막하층에 국한된 암으로 5년생존률 90% 이상이 되는 위암
-특징: 전형적인 증상이 없어도 조기진단이 어렵다. 약 5~20% 정도에서 LN전이 위의 원위부에 호발하여 typeⅡ+Ⅲ가 많다. endoscopy로 mass를 초기발견해서 치료시 5년 생존율이 95%이상.
②AGC(진행 위암)
-특징: 주위 조직의 전파가 많다. 예후가 불량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