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문화][원시][선사][신석기][청동기][삼국][고려][조선]원시시대 주거문화, 선사시대 주거문화, 신석기시대 주거문화, 청동기시대 주거문화, 삼국시대 주거문화, 고려시대 주거문화, 조선시대 주거문화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1.09.30
- 최종 저작일
- 2011.09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원시시대 주거문화, 선사시대 주거문화, 신석기시대 주거문화, 청동기시대 주거문화, 삼국시대 주거문화, 고려시대 주거문화, 조선시대 주거문화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원시시대 주거문화
Ⅲ. 선사시대 주거문화
Ⅳ. 신석기시대 주거문화
1. 주거형태
2. 주거유적
Ⅴ. 청동기시대 주거문화
Ⅵ. 삼국시대 주거문화
1. 고구려의 주거의 특징
2. 백제 주거
3. 신라와 통일신라
1) 신분에 따른 주거의 형태
2) 냉, 난방 방식
Ⅶ. 고려시대 주거문화
Ⅷ. 조선시대 주거문화
1. 영향
2. 신분제도에 따른 주거의 형태
1) 서민주택
2) 중류주택
3) 상류주택
4) 가랍집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인간생활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한다면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세 가지는 인간생활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며 인간생활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의, 식, 주의 생활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의생활, 식생활과 주생활은 유기적인 관련성 아래 이뤄진다. 우리가 옷을 갈아입거나 수납할 때, 혹은 조리하고 음식을 먹거나 식료품을 수납하는 등의 행위는 어느 경우이거나 주거와 밀접한 관계 아래 이루어지는 행위이며, 뿐만 아니라 육아, 교육, 오락, 교제, 종교 등에 대한 생활을 보더라도 주생활과 관계가 없는 것은 없다. 의생활과 식생활은 주거 안에서 이뤄지는 경우가 많으며 은연중에 주생활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주생활은 인간의 모든 생활을 영위하는 기본 바탕이 된다. 주거(dwelling)는 사람의 생활행위의 모든 것을 수용하게 되며 주생활은 주거 안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물리적생리적 행동은 물론 주생활 감정을 포함한 심리적정신적인 행동까지도 내포하고 있다. 주거 내에서는 식사를 즐기면서 가족끼리 단란을 이루는 곳이기도 하고, 이와 대칭적으로 사색이나 독서를 하는 개인적인 공간이기도 하다. 주생활은 날마다 반복된 주행동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러한 행동과정에는 개인으로서, 가족 및 사회의 일원으로서 여러 가지 복잡한 의미를 수반할 때가 많다. 일반적으로 주생활이란 가족단위의 생활단계이면서도 내적으로는 개인적인 생활요소와 사회적인 생활요소가 공존하고 있고 외적으로는 전체적인 사회 생활 속의 포함되기 때문에 인간행동의 단편적인 부분적 개념보다는 종합적인 전체적 개념의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참고 자료
◎ 김규정, 호남지방 청동기시대의 주거지연구, 목포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0
◎ 김란기, 근대 한국의 토착민간자본에 의한 주거건축에 관한 연구 : 일제하 개량한옥건설업을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제1권 제1호, 1992
◎ 강영환,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1991
◎ 신영훈, 한국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1991
◎ 오세연,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문화에 대한 연구 - 주거양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홍형옥, 한국 주거사, 민음사,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