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문화예술단체][문화예술정보시스템][문화예술관련 세제]문화예술 정의, 문화예술 재정규모, 문화예술 문화예술단체, 문화예술 문화예술정보시스템, 문화예술관련 세제 특징, 문화예술관련 세제 개편방향
- 최초 등록일
- 2011.09.25
- 최종 저작일
- 2011.09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문화예술의 정의, 문화예술의 재정규모, 문화예술의 문화예술단체, 문화예술의 문화예술정보시스템, 문화예술관련 세제의 특징, 문화예술관련 세제의 개편 방향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문화예술의 정의
Ⅲ. 문화예술의 재정규모
Ⅳ. 문화예술의 문화예술단체
1.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정부지원의 근거와 쟁점
2.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민간부문의 지원근거와 쟁점
Ⅴ. 문화예술의 문화예술정보시스템
1. 정보 열람/이용 기능
2. 정보교류 기능
3. 자료보존 및 뉴미디어 기능
4. 문화예술의 제작지원 및 상담기능
5. 문화예술 촉매활동 기능
Ⅵ. 문화예술관련 세제의 특징
Ⅶ. 문화예술관련 세제의 개편 방향
1. 세제지원의 보편성 추구
2. 세제지원의 기능성 추구
3. 제반 규제의 철폐와 보완장치의 도입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국민들이 정부에 최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경제성장과 경제안정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에는 이러한 성장을 통하여 삶의 질을 제고하려는 욕구가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화생활과 문화정책은 어떤 측면에서 보면 고유의 영역이 없이 정치, 경제, 사회의 각 영역과 중첩이 발생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달리 생각하여 보면 문화는 사회의 각 영역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영역들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가치의 확산과 힘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적 가치는 아직도 사회전반에 제대로 착근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민사회의 성숙을 기반으로 문화적 이슈들이 공론의 장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어 구조화되어야 한다. 역설적으로 참여와 자율의 기조아래 이러한 공론의 장과 네트워크를 조성하는 것도 정부의 역할이다. 이러한 것들이 전제되어야 정부의 재정투자에서 성과지향적 재정관리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평가와 환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기존의 관점에서 구체적인 정부성과목표는 특성상 소수의 기술적 전문가와 기술적 관료들 내부에서 설정이 가능하였지만, 시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성과목표의 설정은 이러한 기존의 구조에서는 불가능하고 공론의 장에서 모든 문화적 주체들이 평등하게 참여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야 그러한 성과목표가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측정지표를 설정하고 평가를 하는 것도 보다 다양하고 시민들의 삶의 양태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 자료
마크 포스터, 이미옥·김준기 공역(1998) - 제 2미디어 시대, 민음사
문화관광부 - 문화산업백서
서진구 - 첨단지식산업단지로서의 미디어밸리 추진전략, 멀티미디어산업 육성을 위한 세미나 및 토론회,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이어령(1997) - 21세기는 왜 문화의 세기인가?, 메세나
한국문화예술 진흥원 - NO 3, 예술경영, 문예진흥원
한국전자통신연구소(1998) - 21세기 꿈의 통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