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
- 최초 등록일
- 2011.09.22
- 최종 저작일
- 2011.09
- 2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한문학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교재 요약과 작품 분석
1. 한문학과 한국 한문학
2.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
3. 시대별 개관
1) 이식기의 한문학
2) 삼국의 한문학
3) 고려조의 한문학
4) 조선조의 한문학
4. 비평문학의 전개
Ⅲ. 쟁점 사항
1. 우리 문학에서 한문학의 위상
2. 정조 어찰에 대하여
3. 이규보의 농민시
Ⅳ. 나오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漢文學`이라는 단어에서 漢이 의미 하는 바는 한족, 즉 중국의 상징이다. 하지만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의 우리나라에는 말은 있었으나, 그것을 표기할 우리의 고유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한자를 빌려 표기했고, 그것의 흔적은 문학 작품에도 고스란히 남아있다. 지금은 누구나가 한글을 익숙하게 쓰고 있지만,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은 물론 그 이후에도 많은 문학작품들이 한자가 외국문자라는 이질감 없이 쓰여짐은 필연적인 일이다. 따라서 한문학을 중국의 문자로 쓰였다는 생각과 국수적인 문학관의 입장에서 보아 통째로 배제시킨다면, 우리 문학사의 큰 부분을 잃게 될 것이다. 본 조에서는 한자의 전래와 그 한자에 의해 문학작품이 창작되기 시작하던 상고시대를 간단하게 살펴보고, 삼국시대로부터 한문학이 기실 사문화했던 조선 말기까지의 한문학을 시대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시대별 특징과 작품 해설을 한꺼번에 함으로써 작품과 시대의 특징을 더 잘 이해 할 수 있도록 돕는데에 주력하였다. 마지막에서 한문학과 관련되어 일어나는 쟁점사항을 정리해 보는 것까지를 이 글의 목표로 한다.
Ⅱ. 교재 요약과 작품 분석
1. 한문학과 한국 한문학
한문학이 ‘한자를 표현 매체로 하여 기록된 문학, 또는 그 작품을 연구하는 학문’이라면, 한국 한문학은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의 역사체험과 문화전통, 그리고 생활정서를 한자로 표출한 작품 및 그것을 연구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이때 한국 한문학의 대칭 개념은 ‘중국 한문학’이 될 것인데, 대륙의 제도와 문물을 정비한 한왕조의 성격으로 인해 한문은 곧 ‘중국의 문자로 지어진 글’이란 뜻을 갖게 되었다.
한자에 의한 한문화는 동아시아 천자국의 문자로서 동양의 문자가 되었고, 우리나라 역시 외국문자라는 의식 없이 생활문자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문화적 배경과 문자 인식하에서 창작되고 유전된 우리의 한문학을 우리 문화권 속에 포섭하므로, 한국문학으로서의 한문학은 우리 문학의 양과 질을 향상시켰다.
2. 한국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
일반적으로 우리 문학의 정의를 ‘자국인에 의해, 자국의 생활과 감정을, 자국의 문자로 기술한 것’이라 하고, 그 범위를 다음과 같이 도형화 해왔다.
위 도형은 당시의 한자가 차지했던 보편문자로서의 기능을 근거로 ‘자국의 문자’로 기술되어야 한다는 전제를 부정하고, 한문문학도 우리 문학의 범위에 포함시켜야 함을 제시한 것이다. 이때 국문학이 민족문학의 개념이라면 ‘한국문학’으로 명명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의 한문학은 한문화의 영향권 아래에서 형성되었다. 그러므로 독자적인 형식을 창안하기 보다는 언제나 중국문학의 형식을 받아들였고, 중국문학은 늘 우리문학의 원류였다. 그중 악부와 사・곡, 희곡은 대륙의 언성과 악률에 익숙하지 못한 우리로서는 익힐 수도, 향유의 필요성도 없어 창작되지 못했다. 때문에 우리 한문학의 범주는 시・부・소설・평론・수필에 국한될 뿐이었고, 언어와 풍습이 다른 남의 시가를 배워 재창작하기란 어려운 일이어서 언제나 유행의 뒤를 쫓을 뿐이었다.
참고 자료
강명관, 「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김갑기, 「김극기의 시세계」, 『현대문학』 4월호(통권 436), 1991.
김갑기, 「한문학」,『한국문학개론』, 새문사, 1992.
김문식, 「정조 말년의 정국 운영과 심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