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바이오에너지마을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개념 정의
3. 연구 방법
Ⅱ. 세계 바이오에너지마을
1. 공통점
2. 주요 바이오 에너지 마을 사례
1) 독일의 윤데 마을
2) 독일의 마우엔하임 마을
3) 오스트리아의 무레크 마을
4) 일본의 후쿠오카 오오키쪼(大木町) 마을
Ⅲ. 우리나라 바이오에너지마을 동향
1. 현황
2. 국내 바이오에너지마을 모델
1) 모델 개요
2) 국내에 도입가능한 모델
3) 모델의 내용
4) 모델의 적용 및 검토
5) 모델의 실제 적용 및 경제적 효과
Ⅳ. 시사점 및 제언
Ⅴ. 논문을 마치며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론
Ⅱ. 국제 바이오에너지마을
1. 공통점
- 마을 주민들과 지방자치단체 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열정과 주민들 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건설되었다.
- 정부의 높은 정책적 관심 및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졌다.
- 전문가의 기술지원 및 산·학 연계가 잘 이루어졌다.
- 자신들의 마을에서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원료가 어떠한 것인지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 에 알맞은 에너지 발전방식을 통해 그들이 쓰고도 남을 만큼의 잉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었다.
2. 주요 바이오 에너지 마을 사례
(1) 독일의 윤데 마을
마을 소개, 바이오 에너지 마을의 도입배경
윤데마을은 독일 니더작센주에 속한 마을로서, 약 200여 가구가 살고 있다. 2006년 바이오 메스 발전소를 처음 가동하였으며, 전기와 열을 생산하기 시작하여 에너지 자립에 성공 하였다. 이 마을의 에너지 자립 성공에는 괴팅엔 대학의 연구진과 교수진의 노력이 있었다. 처음부터 이 프로젝트는 이 대학 연구소(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학제간 연구센터, INZE)에서 나온 것이며, 나중에는 다른 대학들과 연합하여 다양한 분야(환경공학, 농학, 지리학,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등)의 전문가들이 참여하기에 이른다. 이 팀은 40여 개 후보마을을 선정, 그 중 최선으로 뽑힌 윤데마을의 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특히 환경적, 경제적 측면을 강조했다. 주민들은 처음에는 거부하였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 공감하였다고 한다.
방법
이 마을에서 구체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사업으로써 2006년 바이오메스 열 병합 발전소를 건설, 가축의 분뇨, 옥수수대, 볏짚 등을 활용한 전기와 열 생산 등이 있다. 전기 생산에서 발생하는 열을 낭비하지 않고, 이것으로 물을 데워 지역주민의 난방에너지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서 모자라는 부분은 폐 목제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기 생산 후에 남은 부산물을 유기질 비료로 사용하여 다시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에너지 순환을 실천함으로써 의미를 갖는다.
참고 자료
1) 농림수산식품부, 바이오매스타운 도입 방안 연구, 2009
2)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 실행계획 요약본(2009. 7)
- 교육과학기술부, 행정안전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환경부, 국토해양부, 산림청
3) 한국환경자원공사, 폐자원, 바이오매스 에너지산업 기술의 특성과 전망, 2009
4) 지식경제부, 신·재생에너지 산업화 촉진방안 연구, 2008
5) 환경부, 녹색성장을 위한 환경 기술 산업 정책 방향.2009
6) 농림수산식품부,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대책 실행계획, 2009
6) EBS 녹색혁명 다큐멘터리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