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론]고령화의 사회적 영향과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의 역사
- 최초 등록일
- 2011.09.18
- 최종 저작일
- 2011.09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1. 고령화의 사회적 영향을 서술하고, 2.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의 역사를 시대별로 구분하여 서술하였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고령화의 사회적 영향
1. 고령화 사회
2. 고령화 현황
3. 고령화 사회의 원인
4. 고령화의 사회적 영향
1) 노인부양의 부담 증가
2) 연금과 보건의료관련 정부지출 증가
3) 가구저축의 감소
4) 노동력의 감소
5) 노동의 질적 저하
6) 가족규모의 변화
5. 고령화에 대한 대책
Ⅲ. 우리나라의 노인복지 역사의 시대별 구분
1. 전통사회에서의 노인보호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2. 근대적 노인복지
1) 천주교와 노인복지사업
2) 일제시대
3) 해방 이후~1950년대
4) 1960년대
5) 1970년대
3. 노인복지제도의 확립
1) 1980년대
2) 1990년대
3) 2000년대
Ⅳ.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Ⅰ. 서 론
이미 많은 나라에서 장기간에 걸쳐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어 왔다. 유엔은 고령인구를 65세 이상의 인구로 정의하고 있다.
전체인구의 노인 비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 14%를 넘으면 고령화된 늙은 사회라는 뜻에서 `고령사회`, 20%가 넘으면 매우 늙은 사회라고 해서 `초고령사회`로 나누고 있다.
한국의 고령인구 비율은 1970년에 3.1%, 1980년에 3.8%, 1990년 5.1%, 2000년에는 7.2%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고, 2008년에는 8.7%로 높아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 기준으로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은 11.0%이며, 이미 지난 2000년부터 노령화 사회에 접어들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다른 나라에 비해서 매우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기 때문에 2018년에는 노인 인구 비율이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할 예정이라고 한다.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이 7%이상 되면 노령화 사회(Ageing Society)에 접어들었다고 말한다.
동시에 출산율에 감소하여, 선진국에서도 그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어, 이제 노인문제는 국가와 지역사회, 그리고 가족과 노인 당사자 모두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인구고령화에 따른 국내․외 환경의 변화를 이해하고,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래 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른 식생활의 개선, 의학의 발달, 보건위생의 향상 등 생활여건의 개선에 힘입어 평균수명이 지속적으로 연장되고 있다.
더 나아가 노인 인구 비율이 14%를 넘어서면 고령사회(Aged Society), 20%이상이 되면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라고 부르게 된다.
이제 인구의 노령화 현상은 우리나라만의 얘기가 아니라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점차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인구통계학적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김기태, 성명옥, 노인복지론, 공동체, 2009
조지 매그너스, 홍지수 역, 고령화 시대의 경제학, 부키, 2010
박경숙, 고령화 사회 이미 진행된 미래, 의암출판문화사, 2003
변승준, 윤조덕,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사회보험제도 개편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임춘식, 고령화 사회의 도전, 나남,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