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상기도 질환
1)후비공 폐색증
: 폐쇄 막이나 골 성장으로 인한 후비공의 선천적인 폐쇄, 일측성 또는 양측성
: 카테타가 양쪽으로 삽입되지 않으면 후비공 폐색증 진단
2)급성 비인두염(감기)
- 주로 rhinovirus가 원인
- 비충혈, 콧물, 미열로 시작
- 치료
: 항생제는 이차적인 박테리아 침범이 없다면 비효과적
: 열이 나면 해열제로 조절가능acetaminophen(Tylenol)이나 어린이용 ibuprofen)
: 18세 이하 아동에게는 Reye’s syndrome의 발병과 관련되기 때문에 acetasalicylic(aspirin)을 투약해서는 안된다.
: 비충혈시 식염수를 코에 떨어뜨리거나 비강 스프레이 사용
: 가습기 이용
3)인두염
박테리아나 바이러스가 원인, 4세에서 7세에 호발
(1)바이러스성 인두염
- 증상: 인후염, 열, 근육통
- 치료: 정도가 경하면 acetaminophen이나 ibuprofen 같은 진통제 외에는 거의 투여하지 않는다.
: 목이 아프기 때문에 고형 음식물보다는 유동식을 먹는다.
(2)연쇄상구균 인두염
- 사정: 바이러스성보다 증상이 더 심하다.
: 구개 편도가 붓고 두드러지게 홍반이 나타난다.
: 편도선염 외에 흰색 삼출물이 생기다.
: 구개에 점상출혈이 나타나고, 인두가 홍반된다.
: 고열이 나고, 목이 몹시 아프고, 기면상태가 된다.
: 체온은 40℃이상으로 올라가고 두통을 호소한다.
: 모든 연쇄상구균 감염은 심장과 신장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 치료적 관리
: 페니실린 같은 항생제를 10일 동안 꾸준히 투여해야 한다.
: 급성 사구체 신염(혈뇨와 단백뇨)이 합병증으로 올 수 있으므로 치료 2주후 소변 검사 필요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