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행동요법 적용 및 평가, 치료적 도움이 필요한 대상자의 문제행동을 분석해 보시오.
- 최초 등록일
- 2011.09.07
- 최종 저작일
- 2011.05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2,500원
소개글
<사례> Anorexia Nervosa
(F/12) 유치원 때부터 성격이 내성적이고 친구들과 어울리기보다 혼자 책읽기를 더 좋아함. 작년 담임선생님이 어머니가 학교에 찾아오지 않는다면서 환아를 괴롭히면서 학교에 가기 싫다고 하고 잠도 자지 않으며 먹는 것도 줄었다고 함. 이 무렵 경제적으로 어려워져 어머니가 일을 시작하면서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졌다고 함. 아버지는 짜증을 잘 내고 물건을 집어 던지거나 폭행을 하는 등의 모습이 많아서 환아가 무서워하는 편이었다고 함. 환아가 점점 음식 먹기를 거부하고 체중이 심하게 줄어 약물치료 시작함. 이 때 환아는 아무 설명도 없이 병원에 데리고 가서 자존심이 상하고 화가 났다고 함. 최근 물 한 모금, 죽 한 숟가락도 먹지 않으려 하고 무엇이든 칼로리 계산을 하며, 겨우 설득하여 조금이라도 먹은 후에는 불쾌한 듯 침을 뱉었다고 함. 어머니가 화가 나서 억지로 먹이려고 하자 가출하려고 하여 어머니에 의해 입원함.
2-1. 치료적 도움이 필요한 대상자의 문제행동을 분석해 보시오.
2-2. 대상자의 문제행동을 개선하는 데 인지행동적 접근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근거제시방법을 이용하여 대상자를 위한 중재를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시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사례> Anorexia Nervosa
(F/12) 유치원 때부터 성격이 내성적이고 친구들과 어울리기보다 혼자 책읽기를 더 좋아함. 작년 담임선생님이 어머니가 학교에 찾아오지 않는다면서 환아를 괴롭히면서 학교에 가기 싫다고 하고 잠도 자지 않으며 먹는 것도 줄었다고 함. 이 무렵 경제적으로 어려워져 어머니가 일을 시작하면서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졌다고 함. 아버지는 짜증을 잘 내고 물건을 집어 던지거나 폭행을 하는 등의 모습이 많아서 환아가 무서워하는 편이었다고 함. 환아가 점점 음식 먹기를 거부하고 체중이 심하게 줄어 약물치료 시작함. 이 때 환아는 아무 설명도 없이 병원에 데리고 가서 자존심이 상하고 화가 났다고 함. 최근 물 한 모금, 죽 한 숟가락도 먹지 않으려 하고 무엇이든 칼로리 계산을 하며, 겨우 설득하여 조금이라도 먹은 후에는 불쾌한 듯 침을 뱉었다고 함. 어머니가 화가 나서 억지로 먹이려고 하자 가출하려고 하여 어머니에 의해 입원함.
<중 략>
① 환아는 음식 먹기를 거부하고 무엇이든 칼로리 계산을 하며, 조금이라도 먹은 후에는 불쾌한
듯 침을 뱉는 행동 강박장애에서처럼 음식과 관련된 강박적 사고와 강박적 행동을 보임.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대표적인 섭식장애의 하나로, 살을 빼려는 지속적인 행동, 체중 감소, 음식과 체중과 연관된 부적절한 집착, 음식을 다루는 기이한 행동, 살이 찌는 것에 대한 강한 두려움 그리고 무월경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환아의 행동은 신경성식욕부진증의 대표적인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치료적 도움이 필요하다.
② 친구들과 어울리기 보다 혼자 책읽기를 더좋아하고, 하교에 가기 싫어하며 집에 혼자 있는 시
간이 많음.
섭식장애를 가진 대상자들의 역할- 관계 양상을 살펴보면 흔히 가족이나 친구들로부터 고립되어 있다. 이들은 대개 미숙한 상호관계를 보이며 부모와의 관계에서 부적절하게 의존적인 채로 남아 있고 어린아이 같은 수준에 있으며, 점차 친구들까지 포기한다. 질병이 진행될수록 사교적 기술이 점점 감소한다. 따라서 환아가 건설적인 사회성을 획득하고, 사회적 고립을 극복해나갈 수 있도록 치료적 도움이 필요하다.
참고 자료
Reference
김선아(2011), RN-BSN 정신건강문제와 간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이경순 외(2000), 정신건강간호학(하), 현문사
신현균 외(2010), 아동, 청소년 심리치료 인지행동적 접근, 학지사
이미순(2005),신경성 폭식증에 대한 인지행동 집단 치료의 효과, 덕서여대 심리학과 석사 논문
공성숙, 김준기, 배재현(2000), 폭식 행동에 대한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 신경정신의학 159(2000.11) pp.1072-1082 1015-4817, 신경정신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