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문화사 태평천하에 대해서
- 최초 등록일
- 2011.09.04
- 최종 저작일
- 2010.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동양문화사 관련 강의 레포트 태평천하에 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태평천국운동이란?
2.태평천국운동의 의의
3.태평천국운동의 배경
①경제적 배경
②사회적 배경
③자연적 배경
Ⅱ. 본론
1.태평천국의 전개과정
①제 1기: 금전봉기 1851 ~ 1853 남경도읍
②제 2기: 남경도읍1853. 3 ~ 1856. 9태평천국 지도부
내부발생
③제 3기: 1856. 9 지도부의 내분발생~ 안경함락 1861. 9
④제 4기: 안경함락 1861. 9 ~ 천경함락 1864. 7
Ⅲ. 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태평천국
청나라에서는 장발적(長髮賊)·월비(粤匪)·발역(髮逆) 등으로 불렀다. 1843년 홍수전이 광둥성[廣東省] 화현[花縣]에서 창시한 배상제회(拜上帝會)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하늘의 주재자인 상제(上帝)를 그리스도교의 여호와와 같은 위치에 놓고, 모세·그리스도가 여호와로부터 구세의 사명을 받았듯이 온갖 악마의 유혹으로 타락의 극에 달한 중국을 구제하라는 명령을 상제로부터 받았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모세의 10계를 본떠서 제정한 금욕적인 계율을 지키고 유일신인 상제만을 신앙하면 질병이나 재해에서 벗어나고 나날의 의식(衣食)이 보장된다고 역설하였다.
정통적인 요소를 짙게 풍기면서도 엄격한 우상부정(偶像否定), 유교와 공자에 대한 비판, 유일신 신앙 등은 중국 역사상 최초의 것이었다. 상제회(上帝會)는 주로 계속된 기근과 비적의 약탈, 지주·고리대금업자 등의 압박에 시달리던 광시성[廣西省]의 산촌 농민과 일부 소지주·광부·실업자층으로 그 조직을 넓혀나갔다.
상제회의 우상파괴운동과 신도의 단결로 인하여 전통적인 촌락의 질서가 파괴될 위험성이 있다고 본 향신(鄕紳)과 관헌의 박해가 이들에게 가해지고 이에 대항하는 무장투쟁이 빈발하자 홍수전은 광시성 구이핑현[桂平縣] 진톈[金田]에 신도들을 결집시켜 1851년 초 남녀노소 약 1만 명을 거느리고 봉기하여 ‘태평천국’이라고 내세웠다. 이 ‘태평천국’이라는 호(號)는 상제의 명령과 가호를 받아 평화롭고 평등한 지상천국을 수립한다는 기원(祈願)을 표시하는 것이다.
1.태평천국운동?
1850년 청나라 때, 홍수전을 중심으로 광시성에서 일어난 농민운동으로, 1864년 지주·상인·외국자본의 연합군에 의하여 진압되었다. 그리스도교를 내용으로 하는 종교적 내란의 형태를 보였으나, 그 본질에 있어서는 이민족 청조의 타도와 악습의 철폐, 남녀평등, 토지의 균분, 조세의 경감 등을 주장한 농민전쟁이었다. 이 운동은 15년간 계속되어, 청조의 기반을 사실상 흔들어 놓았다
2.태평천국운동의 의의
태평천국이 일으킨 농민의 광범위한 투쟁은 근대 중국에 있어서 농민혁명의 출발점이 되었다. 또 그 한(漢)민족주의는 쑨원[孫文] 등 동맹회의 혁명운동으로 이어졌다. 또 태평천국이 수많은 약점에도 불구하고 특히 그 말기에 보여준 대외저항은 영국 등 열강에게 강한 인상을 주어, 중국의 완전 식민지화를 저지하는 요인이 되었다.
참고 자료
[출처] 이윤화 교수의 중국사학 공부방 중국의 역사와 문화 >
[출처] 태평천국운동 [太平天國 ] | 네이버 백과사전
[출처] 태평천국 [太平天國 ] | 네이버 백과사전
[출처] 엔싸이버 백과사전
[출처] 중국사의 새로운 이해 - 錢穆 저 / 권중달 / 집문당 / 2003년
[출처] 위키백과사전
[출처] 네이버 캐스트 글 - 차창룡 /
[출처] 중국근대사(中國近代史) - 이양자 / 삼지원 / 200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