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도시개조
2)유토피아 도시건설
3)모델도시 실현
4)뉴타운&교외주택
5)모더니즘의 도시모형
6)도시계획의 탄생
7)대표적인 도시 계획안
본문내용
1)도시개조
-1585년~1590년에 식스투스 5세에 의한 로마개조가 선구적, 로마 전체를 성지로 디자인 하고자 했던 개조 계획
-직선의 도로망과 광장에 의한 도시공간 재편의 시도는 후에 유럽에서 도시개조 사업에 지속적으로 수용
(1)오스만의 파리대개조
-19세기 파리의 인구급증에 의한 위생 상태와 치안 악화에 의한 나폴레옹 3세의 명으로 시작
-종래의 미로식의 가구에 직선의 관통로, 공원설치, 상하수도 정비계획
(2)다니엘 번햄의 시카고 계획(1906-09)
-바둑판형 그리드와 대각선을 조합시킨 가로 디자인
(3)카밀로지테의 중세적인 미로형 도시공간
-기하학적인 대로와 광장은 건물을 고립시켜 도시공간을 빈곤하게 만든다고 주장
-불규칙한 보이드 공간에 의해 도시가 구성되도록 하는 계획 실천, 독일인 파울 츠카의 주장도 동일
(광장을 중심으로 도시공간의 역사를 정리하고 19세기 이후의 도시개조가 광장보다 가로를 우선시 했다고 비판)
2)유토피아 도시건설
-유토피아 도시 계획안 : 근대화의 방법만을 추상화하고 첨예화
(1)르두의 이상도시 쇼(Chux)의 계획
-원형평면에 방사상의 도로로 구성, 중앙에 공장, 주변에 주택과 공공시설 등 배치
-현실의 사회문제를 다룬 사상적 배경 필요
(2)로버트 오웬의 이상도시
-19세기 후반 도시 노동자가 처한 환경이 극단적으로 악화되어 산업사회의 폐해를 규탄하는 운동들 발생
-1813년 까지 스코틀랜드에 자신이 경영하는 뉴 라나크 공장을 하나의 이상도시로 건설
-노동자를 위한 교육시설 등이 충실히 배치
-기업가들의 박애 정신 자극, 미국으로 건너가 1825년 인디아나주의 뉴 하모니에서 이상도시 건설 계획
-전원의 500ha의 농지에 1200명의 거주자를 위해 설계한 커뮤니티
-도시와 지방의 이원주의 해소 표방, 중앙의 성곽 같은 건물에는 주거, 식당, 학교, 등 합리적으로 계획
(3)샤를르 프리에의 커뮤니티 제안
-1620명의 거주자가 사는 한 동의 커다란 건물인 팔레스텔(사회궁)
-주거, 식당, 목욕탕, 집회소, 영빈관, 부대, 학교 등 설치. 즉, 각 생활권을 기능적으로 분리
-평등주의를 실천하기 위해 표준화, 모델화 수행
하워드의 전원도시
http://urbanplan.tistory.com
-산업사회에서 자란 기업가들이 자신의 노동자를 위한 거주지를 포함한 공장을 유토피아 모델을 참조하여 도시 교외에 만들기 시작, 입장이 다른 장소에서는 실천하지 않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