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는 대중적인 기쁨, 환락, 떠들기를 의미한다. 즉 축제는 일에서부터 해방되며 자유롭게 떠들고 즐긴다는 놀이적 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축제는 아무런 조건 없이 일상성에서 벗어나 철저히 놀아질 때 그 축제는 우리의 일상적인 삶을 새로운 활력의 삶으로 바꾸어 놓는 것이다. 축제는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는 천편일률적인 무미건조한 삶을 탈피하여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켜 주고 생활의 윤기를 더해 주는 역할을 한다(정성호, 2007).
우리나라의 축제라는 단어는 축(祝)과 제(祭)의 두 가지 관점으로 볼 수 있다. 물론 과거에는 축제가 생활공동체 구성원들이 노동과 속박에서 벗어나 신에게 풍요를 기원하며 벌이는 제(祭)의 개념이 강하였지만, 현재는 춤과 노래를 통해 자연스럽게 감정을 털어놓는 잔치의 축(祝)의 개념, 즉 놀이의 개념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현대의 축제 개념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었다고 유추할 수 있다. 첫째, 축제는 일상의 억압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통풍구 역할을 한다. 즉, 현대관광이 현재개념이라기 보다는 미래의 정신적, 육체적 의욕창출에 더 많은 가치가 주어지는 것과 같은 역할을 축제가 담당하게 된다. 둘째, 축제의 시․공간과 극히 대조되므로 축제는 환상(fantasy)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볼 수 없는 과장성과 삶에 대한 긍정성을 고양시킨다(김선희, 2007).
참고자료
· 김근철, 지역축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배재 대학교 법무.행정 대학원, 2010.
· 김선희, 지역축제에 참여한 지역주민과 외지관광객의 만족도 비교연구, 한국관광협회, 2007.
· 문화채육관광부, 문화광광축제 종합평가 보고서, 2011.
· 이강욱, 문화관광축제의 영향 및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한국관광연구원, 1998.
· 정성호, 지역축제 관람객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홍보학연구, 2007.
· 장정용, 강릉단오축제의 전승의미론, 우리문화연구회, 199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