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폭에 따른 한국어 RSVP 읽기속도의 개인차
*권*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초록한국어 RSVP 읽기 속도와 읽기폭의 상관관계를 실험하였다. 한국어 RSVP 읽기 속도를 한 문장을 보고 정확히 회상할 수 있는 속도로 산출한 결과, 평균 539어절/분, 표준편차는 167어절/분이었다. 읽기 속도와 읽기폭의 최소추정치와의 상관계수는 0.69, 회귀방정식은 읽기속도=115+142.3*읽기폭, p-value는 0.00038이었다.
목차
없음본문내용
읽기폭은 1980년 Daneman과 Carpener에 의해 제안된 기억력 검사의 하나로, 다른 기억력 검사들이 작업 기억의 저장 능력을 측정하는 데 반해, 읽기폭은 저장 능력과 정보 처리 능력을 동시에 측정한다. 이렇게 저장능력과 정보처리능력을 동시에 측정하는 기억력 검사가 저장 능력만을 측정하는 기억력 검사에 비해 읽기 능력과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RSVP는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의 약자로, 시각적 자극을 빠르게 연속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이다. 언어 자극을 RSVP로 제시한다고 하면, 문장을 일정한 단위로 끊어서 빠른 속도로 제시하는 것이다. 영어에서는 단어 단위로, 한글의 경우는 어절 단위로, 중국어의 경우는 문자 단위로 제시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꼭 그래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Rubin은 RSVP 방식으로 단어별로 문장을 제시하고 피험자로 하여금 읽게 하였을 때, 일상적인 텍스트 방식으로 글을 제시하였을 때보다 2배 이상의 속도로 읽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2] 그것은, RSVP 방식으로 문장을 제시할 때, 단어들이 한 장소에 계속해서 나타나므로 안구 운동을 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안구운동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어에서 RSVP 제시 조건을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171, 260, 350cpm(character per minute)의 조건에서 이해 정도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3]
일반적으로 RSVP을 이용한 글의 제시는 모두 고정된 제시시간을 사용하였다. 최근에는 단어별로 제시시간을 달리 함으로써 읽기 효율을 증대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4]
이번 실험의 목적은 첫번째, 한국어 문장을 RSVP를 사용하여 제시하였을 때 읽기속도를 최초로 측정하는 것이고, 두번째 읽기속도의 개인차를 읽기폭으로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에 덧붙여, 읽기폭으로 대변되는 작업기억용량과 PS(Peceptual Speed) 간의 관계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1. Daneman, M. and P.M. Merikle, Working memory and language comprehension: A meta-analysis.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996. 3(4): p. 422-433.2. Rubin, G.S. and K. Turano, Reading without saccadic eye movements. Vision Research, 1992. 32: p. 895-902.
3. So, J.C.Y. and A.H.S. Chan, Effects of Design Factors on Comprehension Performance with Dynamic Text Display : A Review.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ultiConference of Engineers and Computer Scientists, 2008: p. 19-21.
4. Oquist, G., Adaptive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2001, Uppsala University.
5. 이병택, 작업기억 용량에 따른 언어이해처리에서의 개인차, in 심리학과. 1995, 서울대학원: 서울.
6. Just, M.A. and P.A. Carpenter, A Theory of Reading: From Eye Fixations to Comprehension. Psychological Review, 1980. 87(4): p. 54.
7. Saito, S. and A. Miyake, On the nature of forgetting and the processing-storage relationship in reading span performance.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2004. 50(4): p. 425-443.
8. Baayen, R.H., D.J. Davidson, and D.M. Bates, Mixed-effects modeling with crossed random effects for subjects and item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2008. 59(4): p. 390-412.
9. Bruce, B. and Illinois Univ. Urbana. Center for the Study of Reading., Why Readability Formulas Fail. Reading Education Report No. 28, Bolt, Beranek and Newman, Inc., Cambridge, MA. p. 17.
10. Redick, T.S., Working memory capacity, perceptual speed, and fluid intelligence an eye movement analysis.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