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유학사상의 전개
(1)훈고학(訓고學)= 번호로 선후를 정함
경전의 자구(字句) 뜻을 바르게 풀이함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 송(宋)나라·명(明)나라 왕조의 의리(義理)에 관한 학문과 대칭하여 한(漢)나라·당(唐)나라 여러 유가(儒家) 들의 경학(經學)을 가리켜 훈고학이라 한다.
훈고학은 중국 고전의 해석상 무엇보다 기본적인 학문이며 역사적으로는 진(秦)나라·한나라 성립기에 문헌으로 정착된 고대 전적에 대해서 그 내용을 바르게 해석할 목적으로 붙이는 주석과 그 방법을 가리킨다.훈고학 최초의 문헌은 한나라에 이르러 집대성된 자서(字書)로서 십삼경(十三經)의 하나인 《이아(爾雅)》이다.
이것은 진나라·한나라 이전의 고전인 오경(五經)에 나오는 문자를 19가지로 분류하여 그 의미를 해석한 것이다. 후한(後漢)시대에는 마융(馬融)·정현(鄭玄)·가규(賈逵) 등의 뛰어난 학자가 나타났으며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는 문자의 학문인 소학(小學)의 기초를 구축하였다.
위(魏)·진(晉) 사이에는 왕숙(王肅)·왕필(王弼)·하안(何晏)·두예(杜預)·범녕(范寧) 등의 주석가가 나왔다. 당나라 때는 안사고(顔師古)가 태종의 명을 받아 오경의 탈오(脫誤)를 보정(補正)하고 공영달(孔穎達) 등이 지은 《오경정의(五經正義)》가 나왔다.
그 뒤 송나라 때 의리를 주로 하는 경학, 즉 성리학이 일어나면서 훈고학은 일시 쇠퇴하였다. 그러나 청(淸)나라 때 고증학의 발달로 새로운 방법의 고대어 주석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에 따라 철저한 고증에 의하여 경의(經義)를 밝히고 문자와 그 뜻을 분명하게 가려낼 것을 요구하는 훈고학파가 대두하였다.
또 문자는 언어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으므로 먼저 언어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그 문자를 충분히 이해할 수 없다고 보는 음운학파(音韻學派)가 나타났는데 이를 청대소학(淸代小學)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학자는 대진(戴震)·단옥재(段玉裁)·왕염손(王念孫)·왕인지(王引之) 등이다.
그들의 연구결과는 주준성(朱駿聲)의 《설문통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