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부르주아의 자본주의적 의미
- 최초 등록일
- 2011.08.03
- 최종 저작일
- 2011.04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부르주아의 자본주의적 의미를 살펴본 리포트입니다.
리포트는 부르주아의 용어적 의미, 부르주아의 역사적 의미, 부르주아에 대한 평가(공산당선언을 중심으로)를 담고 있고 각주 및 참고문헌은 정확히 표시해뒀습니다.
특강형식으로 진행된 강의에서 작성한 리포트라서 자세한 분석보다는 개괄적인 설명에 중점을 뒀습니다.
A+을 받은 리포트이니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믿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부르주아의 용어적 의미
3. 부르주아의 역사적 의미
1) 프랑스 2) 영국
4. 부르주아에 대한 평가(공산당선언을 중심으로)
5.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오늘날의 세계는 ‘20대 80의 법칙’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이 법칙은 전체 인구 중 20%가 전체 부의 80%를 차지하고 있다는 이론으로써 19세기 영국의 부와 소득 유형을 연구하던 중에 발견된 부의 불균형 현상이다. 1997년, 한스 피터 마르틴과 하랄트 슈만이 쓴 ≪세계화의 덫≫이라는 책을 통해 세간에 널리 알려졌다. 이 법칙에 의하면, 우리는 최상위 20%만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최소화한 채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나머지 80%는 사실상 최상위 20%에 종속되어 불안정한 생활을 영위한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느낄 수 있다. 언제부터 우리의 현실이 이런 법칙에 의해 설명됐을까?
일단 이에 대한 의문점은 자본주의적 요소에 주목하거나 자본주의 역사적 단계의 검토를 통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자본주의 성립에 주도적 역할을 했던 계층을 살펴봄으로써 그 의문점을 풀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리포트에서는 자본주의 성립에 주도적 역할을 했던 부르주아를 살펴볼 것이며, 그에 따라 먼저 부르주아 용어에 대한 정의를 할 것이다. 그리고 부르주아의 자본주의적 역할에 대해 프랑스와 영국을 중심으로 간단히 살펴볼 것이며, 다소 비판적인 시각 하에서
참고 자료
배영수. (2009). 『서양사강의』. 한울아카데미 (제5장 초기 자본주의와 국가 | 이영석)
송기형. (2005). “근대 이후 ‘부르주아’ 용어의 역사” (한국프랑스학회 학술발표회)
성백용. (2006). “중세의 부르주아 : ‘새로운 인간’에서 ‘새로운 귀족’으로” (한국프랑스사학회)
마르크스. (2002). 『공산당선언』 (이진우 역). 책세상.
월러스틴. (2000). 『자유주의 이후』. 당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