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온도균열 제어를 위한 타설 및 양생방안
4.1 타설전의 관리
타설후의 콘크리트의 온도를 제어하고 온도응력의 값을 저감시키기에는 타설전의 콘크리트의 온도관리가 매우 중요한 항목이 되고 이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서는 미리 골재등의 재료의 온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4.2 타설시 및 양생기간의 관리
콘크리트의 타설시는 타설속도, 순서, 작업시간 등을 조합한 시공계획에 기초해 계 획대로의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한다. 또 기온의 변화, 직사광선, 풍속 등 의 환경조건, 콘크리트의 온도변화의 상황에 대해서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온도측정은 콘크리트 단면의 중심위치 이외에 콘크리트 표면 부근의 온도구배를 파 악하는 것이 관리상 특히 중요하다.
4.3 양생후의 관리
콘크리트 온도가 외기온도 가까이까지 저하하는 것은 시멘트의 종류, 콘크리트의 배합, 구조물의 종류, 규모의 의해 다르기 때문에 온도저하를 확인해서 균열발생의 최종적 상황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
균열폭, 균열간격 등 균열발생상황이 예측된 범위에서 억제되는 경우에는 사전의 계획대로 대응을 고려하면 된다.
Ⅴ. 균열의 측정방법
1) 균열측정 시기
벽체구조물의 콘크리트온도는 비교적 단기간에 외기온도 근처까지 저하하므로
균열 측정의 시기는 콘크리트 타설후 1주간 전후
2) 균열측정 위치
벽체구조물에서는 높이 방향에 상, 중, 하의 3개소로 해서 아울러 최대균열폭 대해 서도 측정한다.
3) 측정 방법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