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본말
1)여불위의 생애
2)내용
①〈十二紀〉
②〈八覽〉
③〈六論〉
3)특징
①구조상의 특징
②사상적 특징
③문학적 특징
4)사상
①유가․도가․묵가․법가
②‘하나-’ 사상
③음양사상
④농가사상
5)『呂氏春秋』관련서
Ⅲ.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중국 秦나라의 여불위가 학자들에게 편찬하게 한 史論書이며 26권으로 진나라 莊襄王의 즉위에 공을 세우고 始皇帝 초기까지 재상으로 재임했던 여불위가 식객 3,000명에게 저술을 맡겨 편찬했다고 하는데, 일종의 백과전서라 할 수 있다. 후대의 가필도 약간 포함되어 있다. 〈十二紀〉·〈八覽〉·〈六論〉으로 구성되어 있다. 〈十二紀〉의 春夏秋冬에서 `여씨춘추`라는 명칭이 생겼으며, 〈八覽〉에서 이름을 따 `呂覽`이라고도 한다. 道家·儒家·法家·陰陽家·農家 등의 여러 설과 時事를 수록하고 있어 선진시대의 사상사 등을 연구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이다.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15a2962a
또한 사회정치사상 등의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면서도 당시로서 혁신적이라 할 만큼 매우 참신한 짜임새를 갖추며 이후 類書 같은 종류(種類)에 속(屬)하는 책. 유본(類本). 오늘날의 백과 사전(辭典) 비슷한 것으로서, 많은 서책에서 발췌(拔萃)한 내용(內容)을 이용(利用)하기 좋게 분류(分類) 편찬(編纂)한 서책.
의 시조가 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깊은 의미를 갖는다. 본문에서는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은 『呂氏春秋』에 대해 구체적인 항목을 예로 들면서 특징을 위주로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말
1)여불위의 생애
여불위(呂不韋, ?~기원전 235)는 전국시대 말기에 활약한 巨商이자 정치가이다. 본래 衛나라 사람으로, 韓나라에서 장사를 하여 대부호가 되었다.
참고자료
· -화탁수 저, 김지연․전인경 역, 『한권으로 읽는 중국명저』, 생각하는 백성, 2006
· -여씨춘추(중국적 실용주의의 기원), 김근, 살림, 2005
·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15a2962a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