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발명교실][발명교육][발명 분류][발명 탐구과정][발명교실 목적][발명교실 사례]발명의 개념, 발명의 분류, 발명의 탐구과정, 발명교실의 정의, 발명교실의 목적, 발명교실의 사례, 발명교실 관련 제언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1.07.12
- 최종 저작일
- 2011.07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발명의 개념, 발명의 분류, 발명의 탐구과정, 발명교실의 정의, 발명교실의 목적, 발명교실의 사례, 발명교실 관련 제언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발명의 개념
Ⅲ. 발명의 분류
1. 착상 발명
2. 과학적 발명
3. 응용 발명
Ⅳ. 발명의 탐구과정
Ⅴ. 발명교실의 정의
Ⅵ. 발명교실의 목적
Ⅶ. 발명교실의 사례
1. 목적
2. 운영방침
3. 주요 업무 계획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세계를 움직이는 힘은 시대에 따라 변화여 왔다. 세계 2차 대전이전에는 무력이 세계를 지배하는 힘이 되었고 그 이후에는 이념이 세계를 움직이는 힘이 되었으며, 70년대 이후에는 경제력이 세계를 좌우하는 힘이 되었다. 이와 같은 세계를 지배하는 힘의 변화에 따라 세계 전쟁은 무력전쟁에서 이념전쟁으로 다시 경제 전쟁으로 바꾸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의 세계는 경제 전쟁에서 지적 소유권 전쟁으로 변화를 하고 있다. 이를 특허 전쟁 또는 발명전쟁의 시대라고 하기도 한다.
세계를 지배하는 힘과 정세가 변화함에 따라 교육의 정책이나 내용도 많이 달라지고 있다. 각국은 자국의 국제적 힘을 키우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는데 교육이 그 수단이 되고 있음이 공통적인 현상이다. 그래서 교육도 지적재산권의 확보를 위한 방향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정에 따라 각 나라에서는 고급 두뇌의 개발을 위한 전략을 세우고 국가적 차원에서 개혁을 서두르고 있다. 획일적이고 지식 중심의 교육에서 창의성과 다양한 능력을 기르는 교육으로 방향을 바꾸어가고 있다. 서구나 미국에서는 일찍부터 창의성 육성, 개성신장이 중심이 되는 열린교육을 실시하여왔고 일본이나 중국에서도 우리 나라 보다도 앞서서 개성 개별화 교육, 창조적 두뇌개발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창조적 고급 두뇌개발을 위한 교육에 힘써오고 있다.
참고 자료
강신묵 / 하루 10분 발명 교실, 서울 : 지경사, 1994
신세호 / 창의력 개발을 위한 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1993
윤경국 / 발명이론 기법, 서울 : 교우사, 2002
왕중연 / 발명의 길, 서울 : 한국발명특허협회, 1998
특허청 외 / 발명교육의 길잡이, 특허청, 한국학교발명협회, 2000
특허청 / 발명노트, 서울: 특허청,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