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문헌 고찰
3. 해석모델
4. 모델 분석
5. 최종모델 완성
6. 경제성 분석
7.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1. 서 론
1.1 연구의 목적1)
도심 상주인구 감소로 인한 도심공동화 현상을 막기
위해 정부의 주상복합 건축물의 건설 장려정책과 건설업
체의 사업다각화에 대한 노력에 힘입어, 초고층 건물 수
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더욱 고층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초고층 건물의 경제성은 평면적인 도시를 수직
적인 도시로 바꾸고 이러한 초고층 건물들은 지역의 경
기부양효과와 고용 창출 등 경제적인 파급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건설기술의 집약이라 할 수 있는 초고층 구조물의 설
계에서 중요한 것은 건축적인 요구사항을 최대한 충족시
킴과 동시에 원가절감과 시공성의 저하를 유발하지 않으
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설계 능력
이 필수적이다.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안정성은 얼마나 효
율적인 횡력 저항 시스템을 사용했는지에 따라 저항능력
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초고층 건물에서 중요
한 것은 바람이나 지진 등의 수평하중에 적절이 저항할
수 있는 구조적 안정성이다. 건물이 고층화 될수록 횡하
중에 대한 영향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된다.
.
.
..
참고자료
· 1. 조영상, 손형대, “고층건물 횡력저항시스템에 따른 횡변위 및
· 경제성 분석”,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2001
· 2. 최은희, 이재홍, 박대규, “초고층 전단벽-골조 아웃리거 구조
· 시스템의 시간이력해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7
· 3. 송화철 (1999), “엇갈린 오프셋 아웃리거 초고층 구조시스템의
· 효율성”,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5권11호,
· 4. 김영학 외 3인 (2003), “초고층 건축물의 횡력 저항 시스템에
·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권2호,
· 5. 김지영 외 3인 (1997), “아웃트리거 보의 분포 및 개수에 따른
· 구조적 거동 및 효율성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3
· 권4호, pp.351~359
· 6. B.S. Taranath, (1975) “Optimum belt truss location for high-rise
· Structures", Structural Engineer 52(8),
· 7. J.W.McNabb, B.B.Muvdi, (1975) “Drift reduction factors for belt
· high-rise structures", Engineering Journal
· 8. B.S.Smith, I.Salim, (1981), “Parameter study of Outrigger
· Braced Tall Building Structures", Journal of Structural
· Engineering, 107(T10), pp.2001~2014
· 9. 김석희, 임칠순, “초고층 주상복합 골조공사의 공사비 예측모
· 형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