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본론
2-1.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달과정
2-2. 한국의 교육공학
2-3. 교육공학의이론적기초
3. 맺는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서론-교육공학의 의미
교육공학은 인간의 배우고 가르치는 과정과 관련된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된 과학적 지식 또는 조직화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학문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교육공학은 배우고 가르치는 과정에 관련된 다양한 문제 중 어떻게 더 잘 배우고 가르칠 수 있느냐의 교육의 방법론적 문제의 해결에 많은 관심을 갖는다. 공학이라는 용어는 하드웨어적인 의미로만 국한되지 않는다. 갤브레이스는 공학을 실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적 지식 또는 조직화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이는 실제적인 문제의 해결에 관심을 두는 학문 영역으로 총칭하였고, 실즈와 리치 는 교수공학은 학습을 위한 과정과 자원의 설계, 개발, 활용, 관리, 평가에 관한 이론과 실제라는 정의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교육공학 대신 교수공학을 전면에 내세운 점이다. 박성익등의 정의에서는 공학의 관점에서 교육의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육의 방법론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관련된 과학적 지식 또는 일반적으로 조직화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학문 영역으로 규정한다. 초기 교육공학 성립에 많은 영향을 끼친 엘리에 의하면 교육공학은 일종의 교육에 관한 이론과 실제의 한 분야이며 교육공학은 학습의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메시지의 설계와 활용에 관하여 주로 다룬다하였으며 교육공학의 학문적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한 가네에 의하면, 교육공학은 과학적 연구로부터 도출된 체계적 지식으로 보아야 하며 수업에서 제시할 때 사용되는 기계나 자료 예컨대, 프로젝터, 필름, 화면,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것이 아니다 라고 정의하였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