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각 사이트가 B2B 또는 B2C인지 기술하시오.
2) 각 사이트는 어떤 기능들을 제공하는가?
3) 최종사용자(end user)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4) 사용자가 각 사이트와 상호작용하는 기술은 무엇인지 서술하시오.
B. 선정된 2개의 웹사이트를 다음과 같이 비교하시오.
1) 각 사이트의 특징과 효익을 비교하시오.
2) 각 사이트에 어떤 문제가 존재한다면 그 내용을 기술하시오.
3) 사용자 관점에서 어느 사이트가 더 바람직한가? 그 이유는?
1) 각 회사는 각 사이트로부터 수익을 올리고 있는가? 그렇다면 어떻게 올리고 있는가?
2) 각 회사는 왜 사이트 구축에 투자하였는가? 이러한 사이트 구축을 통해서 회사가 달성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3) 각 사이트를 구축할 때 투자수익율(Returns on Investment)은 어떻게 되는가?
총평
본문내용
1) 각 사이트가 B2B 또는 B2C인지 기술하시오.
삼성전자 http://www.samsungb2b.co.kr/, LG전자 http://b2b.lge.co.kr/를 선정하여 문제를 풀어나가기로 결정하였다.
위의 그림은 각 사이트에 첫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화면에 빨간 색으로 표시한 것을 보면 각 사이트는 B2B 사이트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화면에 노란 색으로 표시한 것을 보면 각 사이트가 기업과 소비자 간이 아닌, 기업과 기업 간에 이루어지는 제품이나 서비스, 또는 정보에 관한 거래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B2B 시장은 기업이 온라인에서 거래하는 대상과 방법에 따라 네 가지 비즈니스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거래 대상은 기업이 온라인에서 거래하는 품목이 소비재인가 생산재인가로 나눌 수 있으며, 거래 방법은 일시적 거래인지 체계적 거래인지로 나눌 수 있다.
분류기준에 따라 위의 표같이 4가지 유형으로 정의할 수 있다. 4가지 유형 중 두 사이트 모두 거래를 할 기업이 운영에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는 수평적 비즈니스 유형으로 Yiels Managers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두 사이트는 거래할 고객을 크게 기업체, 관공서, 학교, 건설, 건축, 병원 등으로 분류하고 있고 고객에 맞는 제품을 추천 및 판매를 하고 있다. 그리고 B2B의 특징 중 하나인 전자메일, 전화 팩스, 전자자료 문서교환 등의 정보기술을 활용하므로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두 사이트 모두 B2B사이트라고 생각하고 분석을 하려고 한다.
2) 각 사이트는 어떤 기능들을 제공하는가?
조사를 하기 전에 규모도 크고 비슷한 회사의 같은 목적을 가진 두 사이트이기에 거의 흡사할 것이라는 예상을 했다. 예상했던 것과 같이 비슷한 점이 많았지만, 의외로 다른 기능들도 있었고, 다른 회사에서 이미 제공하는 기능을 다른 회사는 아직 준비 중인 경우도 있었다.
참고자료
· 1. 서적, 논문
· 1) 최준연 (2004), “B2B e마켓플레이스 성공모델-아이마켓코리아, emars.
· 2) 정지혜 선임연구원 (2007), “고객중심의 B2B 시장 세분화”, LG Business Insight.
· 3) 신장환 책임연구원 (2009), “위기에 강한 B2B 기업의 조건”, LG Business Insight.
· 4) LG 인터넷 전자상거래 팀 (1999), “LG의 전자상거래 사례” LG Business Insight.
· 5) 김나경 책임연구원 (2010), “소비자와의 소통, B2B 기업도 예외 아니다”, LG Business Insight.
· 6) 이영민, 주상호 (2004), “B2B e-마켓플레이스의 거래형태 연구”, 춘계춘계학술발표회.
· 7) 곽기연 (2000), “B2B, B2C 웹사이트 평가 요인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 8) 최현덕 (2008), “B2B e-마켓플레이스의 성과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 9) 경제 통계국 서비스업 동향과 (2011), “2010년 연간 4/4분기 전자상거래 및 사이버쇼핑동향”, 통계청.
· 2. 신문
· 1) 조태현 기자 (2011. 2. 1.), “삼성, LG 유렵 디스플레이 B2B 시장 공략”,
·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DC11&newsid=02689606596146256&DCD=A01402, 이데일리
· 3. 인터넷 블로그 및 사이트
· 1) 닉네임 포인티드 (2004. 11. 5.) “B2B를 확실하게 망치는 10가지 방법”, http://cafe.naver.com/shopmaster/83, 네이버 카페 전자 상거래 운영자 모임.
· 2) 닉네임 원술랑 (2009. 4. 17.) “B2B 관계 관리가 성공의 열쇠”,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oiwonsool&logNo=150046165876, 네이버 블로그.
· 3)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 DART, http://dart.fss.or.k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