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실태와 정부의 정착 지원정책 및 남한사회적응에 대한 사회복지의 역할과 개입방안0
*용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탈북 실태와 정부의 정착 지원정책 및 남한사회적응에 대한 사회복지의 역할과 개입방안0과제물 꼼꼼하게 정성을 들어 작성했습니다.
제 자료가 구입자분에게 꼭 필요한 내용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구입자 분의 앞날에 항상 무궁한 발전과 행복과 행운이 깃들기를 홧팅^^
목차
I. 서 론Ⅱ. 본 론
1. 탈북의 환경요인
1) 사회적 요인
2) 자연 재해 요인
2. 탈북 현상의 변화양상
1) 탈북 현상의 보편화와 배경특성의 다양화
2) 가족 탈북의 경향과 입국한 북한이탈주민가족의 규모
3. 탈북의 양상과 생활상
1) 탈북의 지역적 양상
2) 탈북인의 성별 및 단위별 양상
3) 탈북인의 생활상
4. 국내 정착 탈북자 현황과 실태
1) 탈북자 갈수록 증가추세
2) 탈북주민 대부분 외상후스트레스 장애 겪어
3) 대북 의료지원 체계화 필요
5. 탈북인의 주체별 문제점
1) 조선족
2) 중국 정부
3) 북한 정부
4) 한국 정부
6. 탈북자의 남한생활 정착의 문제
1) 단속의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자유롭지 못한 삶을 살고 있다.
2) 정부 정책 및 프로그램의 문제점
3) 민간 지원활동에서의 문제점
4) 정부와 민간의 공식적 연계 부재
5) 사회․문화적 적응의 어려움
6) 개인적 정신건강의 문제
7) 경제적 적응의 어려움
7. 탈북자의 남한생활 정착방안
1) 탈북여성의 인권 보호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2) 경제적인 면에서의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
3) 자본주의 경제교육을 통한 스스로 자력갱생의 힘을 길러 주어야 할 것이다.
4) 새터민 자신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
5) 하나원을 통한 빠른 남한사회의 정착이 절실하다.
8. 탈북자에 대한 정부의 지원대책
1) 정부의 교육적 지원
2) 경제적 지원 경제적 지원
9. 탈북자에 대한 주체별 인권대책
1) 북한 정부
2) 중국 정부
3) NGO
4) 한국 정부
10. 탈북자의 남한사회적응에 대한 사회복지의 역할과 개입방안
1) 탈북자 문제와 사회복지의 관계
2) 사회복지의 구체적 역할과 지원방안
(1) 사회복지의 인도주의적 가치실현: 재외국 탈북자에 대한 보호 역할
(2) 기본적 생존권보장: 국내탈북자의 경제적 적응을 위한 지원 역할
(3) 사회통합의 목표달성: 탈북자의 사회적응에 대한 지원역할
① 사회적응교육에 케이스웤을 위한 팀 어프로치(team approach) 적용
② 거주지 정착 후 지역사회차원에서의 후속적 사회적응교육 제공
③ 탈북자의 개별적 욕구 대응을 위한 자원봉사자의 모집과 훈련
Ⅲ. 결 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탈북 실태와 정부의 정착 지원정책 및 남한사회적응에 대한 사회복지의 역할과 개입방안0I. 서 론
남북한은 언젠가는 반드시 통일해야할 시대적 사명이 우리에게는 있다. 동독과 서독이 갑자기 통일 되듯이 지금 탈북자 숫자가 점차로 늘어나는 것 보면 남북한 통일도 그리 멀지 않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북한에서 탈북한 탈북자가 남한사회에서 생활하고 적응한 것이 쉽지 않는 일이다. 앞으로 갈수록 탈북인구가 늘어나 남한사회에 정착하여야 할 숫자가 증가하므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탈북자를 보호하고 교육시켜야할 의무가 있다. 탈북자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과 태도는 이들이 남한사회라는 새로운 지역에서 적응하고 정착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왜냐하면 탈북자들에 대한 한국 정부, 민간단체, 일반시민들의 시각이 어떻게 정립되는가에 따라 그들이 남한사회에서 정착하고 적응을 이루는 동안 제공될 물질적, 정서적 지원의 양과 질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남한에 정착한 북한 이탈주민이 연평균 27%씩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회 00 의원이 조사한 결과 지난해 남한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은 4,580명으로 2000년 511명에 비해 9배 늘었다. 지난해 말 현재 남한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은 모두 13,762명이다.( 김창기. 2009.06.10 )
탈북자들의 연령대는 어느 한 층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층에 걸쳐 분포되어 있고, 탈북자 중에서도 청소년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새터민이 북한을 탈출하여 하나원을 거쳐 남한사회에서 정상적인 남한사회인으로 정착 하기까지는 약 3년간의 기간이 소요된다고 한다. 그러나 탈북주민들이 남한사회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무엇보다도 생소한 사회에 대한 부적응이 큰 이유다. 오랜 세월 북한체제에서 억압과 감시, 인권유린을 당하며 살아온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은 쉽지 않은 일이며, 최근 지역사회 부적응에 따른 사회문제로 이슈화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어려움을 겪으며 살아가는 탈북주민들에 대한 국민들의 사회적 배려가 많이
참고 자료
김은택, 1999, 세계선교정보,탈북자의 현황김엘리, 『북한 이탈 여성 주민 생활 실태 조사 결과 보고서』, (사)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1999
박요셉, “해외체류 탈북자 현황과 대책,” 탈북자문제 현황과 대책, 통일부 북한이탈주민지원 민간단체협의회 공동주최 워크샵자료(비간행물), 2000. 4. pp. 9-16
북한이탈주민후원회, 북한이탈주민의 이해와 자원봉사, 탈북동포이해 기본교재, 2000
윤여상, “재외탈북자 지원방안에 대한 고찰- 민간단체의 참여방안을 중심으로”, 탈북동포돕기 대학(원)생 자원봉사자 수련회 자료(비간행물), 통일교육원, 1999.7.15-17.
이장호, “북한출신주민(탈북자포함) 심리사회적응 프로그램의 개발”, 성곡논총, 제 28집, 제 4권, 1997, pp.739-789.
이정균, 『정신의학(3판)』, 일조각, 1994
전우택, “통일 후 예상되는 북한주민들의 통일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 난민, 한국인 이민자, 북한귀순자를 중심으로", ’95 북한 및 통일연구논문집 V, 통일원, 1995, pp.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