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 지역화 의미, 사회과교육 지역화 변천, 사회과교육 지역화 당위성, 사회과교육 지역화 원리, 사회과교육 지역화 교과서, 사회과교육 지역화 교육방법, 사회과교육 지역화 유의사항, 사회과교육지역화방향
*창*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의미,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변천,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당위성,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원리,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교과서,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교육방법,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유의사항, 향후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방향 분석목차
Ⅰ. 서론Ⅱ.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의미
Ⅲ.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변천
1. 교수요목시기(1946~1954) : 사회과의 성립
2. 제1차 교육과정 시기(1955~1963) : 초기 사회과 시대
3. 제2차 교육과정 시기(1963~1973) : 사회과의 정착기
4. 제3차 교육과정 시기(1973~1981) : 사회과의 토착화 시기
5. 제4차 교육과정 시기(1981~1987) : 사회과의 성숙기
6. 제5차 교육과정 시기(1987~1995) : 사회과의 성숙기
7. 제6차 교육과정 시기(1995~) : 사회과의 본질 구현기
Ⅳ.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당위성
Ⅴ.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원리
Ⅵ.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교과서
1. 지역화 교과서는 무엇보다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교과서가 되어야 한다
2. 지역화 교과서는 타 지역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3. 지역화 교과서의 내용은 사실성에 근거하여야 한다
4. 지역화 교과서는 민족교육에 바탕을 두고 개발되어야 한다
Ⅶ.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교육방법
1. 직관․이해의 원리에 입각한 지역화 교육방법
2. 사고의 원리에 입각한 지역화 교육 방법
3. 설명의 원리에 입각한 지역화 교육 방법
Ⅷ.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유의사항
Ⅸ. 향후 사회과교육 지역화의 방향
1. 지역화의 방향은 미래 지향적이고, 지속적이어야 하겠다
2. 긍정적이고 개방적으로 지역화는 추진되어야 한다
3. 지역 사회의 많은 현상을 확실히 파악하고 핵심적인 내용을 정선, 지도해야 한다
4. 구체적 방법이 모색, 실천되어야 한다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사회과는 일반적으로 사회현상을 학습대상으로 하여 이를 바르게 인식하고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간 능력을 기르는 교과로 정의된다. 즉, 고장과 시도 지역, 우리나라의 민주적 공동생활 모습과 문화, 그리고 세계의 생활 등의 구체적 사회현상을 학습대상으로 하여 그러한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를, 학생들이 민주시민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능력과 가치, 태도를 지니게 할 수 있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하는 사회 인식 교과이다. 특히 초등학교에서의 사회과 학습은 학생들의 생활경험이 이루어지는 주변 지역이 그 배경이 되므로 지역의 실정을 고려하지 않는 사회과 학습은 단순한 지식 전수 이상의 것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사회과 교육 전문가들은 사회과의 이러한 의도에 맞춰 지역화의 목적으로써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강조하고, 지역화의 방법으로는 지역화 된 교육과정의 편성과 함께 각 지역의 자료에 의한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자기가 살고 있는 고장이나 지역에 대한 애정은 고장, 지역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바탕이 되며, 고장과 지역에 대한 이해는 교육과정을 지역화 함으로써 학습될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간접경험보다는 생활 주변에서 직접 경험하고 관찰할 수 있는 자료로써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학생들이 살고 있는 고장과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개념이나 원리를 지도하도록 계획하는 것이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이다.
따라서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의 의미는 국가에서 의도하는 교육과정과 그 지역이나 학교에서 전개한 교육과정간의 간격을 가능한 좁히고 양자간의 관계를 의미 있게 효율적으로 연계하기 위해서 국가 차원에서 개발된 교수목표, 방법, 평가, 운영제도 등을 지역사회의 실정, 학교의 특수성, 학습자의 요구 등에 적합하게 재구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회과 교육 및 지리교육에서 이 같은 취지가 갖는 배경 혹은 의미로는 크게 두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하나는 학습자의 실제 삶의 장소를 교육의 범주 안으로 들여옴으로써 학교 안에서의 교육내용과 밖에서의 일상생활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좁혀 보자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과 교육의 스코프(scope)를 학습자가 경험하고 있는 주변 장소들로부터 시작하여 그 공간 스케일을 점증적으로 넓힘으로서 학생들의 발달 단계가 고려된 시퀀스(sequence)를 구성하자는 것이다.
참고 자료
ⅰ. 권혁풍, 지역화논리에 따른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논문, 1995ⅱ. 경상남도교육위원회,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1988
ⅲ. 김용국, 농촌지역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실제, 함평군교육청, 1997
ⅳ. 김용만, 사회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이론적 배경과 접근법, 사회과 교육(제 18호), 서울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1986
ⅴ. 심재호, 사회과 지역교과서에 반영된 지역 정체성 연구 : 초등학교 3학년 전라남도 지역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ⅵ. 장준현, 지역 중심의 사회과 통합수업 내용에 관한 연구, 교원대 석사학위논문,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