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현목간략자료
- 최초 등록일
- 2011.06.21
- 최종 저작일
- 2011.05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유현목 감독님의 간략한 인생 요약과 필모그래피, 그리고 특징 스타일을 대표작의 예를 들어 설명해 놓은 글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작품론 (오발탄을 중심으로)
유현목 감독의 <오발탄>(1961년)은 사실주의 영화의 기본 형식인 ‘먼 거리 촬영(롱 쇼트)’를 적절히 살린, 뛰어난 기교와 흑백 영상미로 한국 전쟁이 몰고 온 우리 사회의 암울한 현실과 빈곤한 삶을 부각시킨, 해방 이후 사실주의 영화의 수작이라고 할 수 있다.
암울한 서울의 야경으로 시작해 밤 장면으로 끝나는 어두운 화면 구조, 숨 막힐 듯한 실내의 폐쇄 공간으로 설정된 이 영화의 무대는, 월남한 피난민들이 모여 사는 해방촌이다.
1950년대 후반 실향민의 암담한 삶과 노모의 발작적 갈망이 상징하는 분단의 깊은 후유증, 부패한 자유당 정권 아래의 사회상을 뛰어난 영상미와 날카로운 사실주의적 기법으로 그려낸 이 영화는, 나운규의 <아리랑>(1926년) 이후 최대의 수확으로 평가를 받았다.
오발탄은 철저히 의도되고 복합적으로 계산된 고도의 리얼리즘 드라마
①시각적인 상징
* 신호등
시퀀스 7 - 영호가 설희를 만날 때 기차 신호등이 가로막는다.
시퀀스 10, 20 - (철호의 방황시퀀스) 신호등 등장 3번 박복.
신호등은 영화의 주제인 ‘방향감각의 상실을 나타낸다.
②개념적 상징
* 철호의 ‘치통’
치통=썩어있음 의미상통, 부패한 현실 상징. 철호가 전신주에 기대어 피를 토한다.
비스듬한 전신주, 찢겨진 종이 위에 ‘한국’이란 두 글자가 보임, 부패한 현실의 고발
* ‘걷는다’ 행동의 반복
철호는 그저 무턱대고 걷고 또 걷는 행동을 반복.
영호의 공간이 페쇄적인 반면 열린공간은 일상적 질서의 복귀를 의미하는는데 태연함이며 현실 순응이다.
유현목의 영화를 보면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주 소재는 인간들의 내면적 문제이며 그것도 현실을 등지지 않고 현실 속에서 끈적거리면 발버둥치는 인간의 내면적 세계의 절망적 갈등과 그 구원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흔히 그의 영화적 분위기를 심각하면서도 어둡게 느끼는 것은 그가 그리는 작품세계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의 현실을 극복하고자 몸부림치는 주인공의 강렬한 아니 처절한 의지가 아름답게만 묘사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일제에 짓밟힌 민족의 자긍심은 그의 민족주의 의식을 키워줬고 민족분단의 비극은 이데올로기의 갈등으로 그의 가슴을 아프게 했다. 일제의 잔재와 민족상잔의 동란으로 남겨진 후유증이 그에게 부여한 과제는 혼탁한 사회 속에서 방황하는 우리 군상들의 정의의 회복과 절망에서 탈출하는 구원의 문제였다. 신의 존재에 대한 그의 회의감은 6형제를 잃은 유현목의 개인적이며 운명적인 사연도 되겠지만 그의 작가적 성장을 고려해볼 때 내성적 성격이 형성한 고독은 인간 상호간의 대립보다 꾸준히 신과의 도전을 통해서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유현목의 내면세계가 작품세계 곳곳에 투영되어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계몽주의와 리얼리즘
참고 자료
전양준, 장기철 책임편집 「닫힌 현실 열린 영화 (유현목 작품론)」, 제3문학사, 1992
유현목, 「예술가의 삶 20 영화인생」, 혜화당, 1995
이용관, 이효인, 정재형 책임편집 「유현목, 한국리얼리즘의 길 찾기」, 큰사람, 1999
김종원, 정중헌, 「우리영화 100년」, 현암사, 2001
* 기사 및 인터넷 자료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유현목 (http://kmdb.or.kr/)
무비스트 유현목 (http://www.movist.com/)
인터뷰 미디어, 인터뷰 365, 영화미학의 개척자 유현목 감독 (http://interview365.com/)
씨네21 유현목 (http://www.cine21.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