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라니냐와 엘리뇨
1.라니냐란 무엇인가?
(1) 라니냐의 정의
(2) 라니냐의 발생원인
(3) 라니냐의 영향
2. 엘니뇨란 무엇인가?
(1) 엘니뇨의 정의
(2) 엘니뇨의 발생원인
(3) 엘니뇨의 영향
3. 이상기후
(1) 전 세계의 이상기후
(2) 발생원인
(3) 영향
Ⅲ. 대처방안
Ⅳ. 맺음말
본문내용
1.라니냐란 무엇인가.
1) 라니냐의 정의
스페인어로 ‘작은 소녀’라는 뜻으로, 엘니뇨와 반대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또한 기상학적으로도 엘니뇨와 반대의 성질을 지닌 현상을 나타낸다. 라니냐는 많은 명칭이 있는데 El Vjejo, anti-El Nino, 또는 찬 타원형 해수로 표현되기도 한다. 그러나 기상학부분에서 혼동을 없애기 위해 라니냐로 통일해 부르고 있다.
라니냐란 적도 무역풍이 평년보다 강해지면 서태평양의 해수면과 수온은 평년보다 상승하게 되고, 찬 해수의 용승 현상 때문에 적도 동태평양에서 저수온 현상이 강화되어 엘니뇨의 반대현상이 나타난다. 엘니뇨가 보통 때보다 적도의 태평양 온도가 따뜻해지는 것을 의미한다면 라니냐는 적도보다 더 차가워지는 경우를 일컫는 것이다.
엘니뇨 감시구역(Nino 3.4 : 5°S~5°N, 170°W~120°W)에서 5개월 이동평균한 해수면 온도 편차가 -0.4°C 이하로 나타나는 달이 6개월 이상 지속될 때 그 첫 달을 라니냐 발달의 시작으로 정의한다.
엘니뇨 현상이 시작되기 전 또는 끝난 뒤에는 평년보다 강한 무역풍이 지속되는 시기가 있다. 이 강한 무역풍에 의해서 해면 밑 따뜻한 물의 두께는 보통 파보다 서쪽에서 두껍고 동쪽에서 얇아져, 평년보다 낮은 해면 수온이 무역풍을 다시 강화시키는 쪽으로 feedback 되어 같은 상태가 지속되는데 이 상태를 라니냐라 한다. 그래서 서부 태평양에서 훨씬 더 많은 대류 활동이 일어나게 된다. 때문에 엘니뇨 다음에 라니냐가 온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는 학계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2) 라니냐의 발생원인
(1) 정상상태
○ 인도네시아와 열대 태평양 서쪽 지역에서 강수가 많고, 적도 태평양 동쪽에서는 강수가 적음
○ 태평양의 주된 대규모 순환인 워커순환(Walker Circulation) 형성
• 열대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하층 편동풍(동에서 서로 부는 바람) 및 상층의 편서풍과 관련
• 적도 태평양 서쪽과 인도네시아에서의 바람 패턴은 저기압과 그에 따른 상승 운동과 관련
• 동태평양에서의 바람 패턴은 고기압과 그에 따른 하강 운동과 관련
○ 해수 구조
• 열대 태평양 서쪽에서는 온수층이 깊게 나타나고 열대 태평양의 동쪽에서는 비교적 얕게 나타남
• 이 온수대는 보통 서쪽에서 가장 깊고 동쪽으로 갈수록 해수면에 가까워지는 수온약층에 의해서 찬 심해층과 분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