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브룩의 희곡 마하바라타
- 최초 등록일
- 2011.06.19
- 최종 저작일
- 2010.06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피터브룩의 희곡 <마하바라타>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집약하여 만든 리포트입니다.
작가 피터브룩의 소개를 시작으로, 피터브룩이 <바하바라타>에 담은 인도문학에 대한 설명,
등장인물, 작품과 관련하여 연출이나, 의도, <마하바라타>에 대한 논란까지
희곡 <마하바라타>의 이해를 돕는 여러 정보들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목차
1. 피터브룩에 대하여
2. 인도문학에 대하여
3. 마하바라타 등장인물
4. 작품과 관련하여
1) 무대연출
2) 연출의도
3) 마하바라타에 대한 논란
5. 참고문헌
본문내용
피터브룩은 장 클로드 카리에르와 함께 장장 10년에 걸쳐서 서사시 마하바라타를 희곡으로 각색하였다. 그리고 1985년 프랑스의 아비뇽축제에서 초연된 브룩의 《마하바라타》는 3부분으로 나뉘어져 각각 3시간씩 총 9시간으로 구성되어졌다. 이 공연이 시작되기 3년 전부터 브룩은 이 작품을 위해 세계 각 국으로부터 모인 배우, 음악가, 디자이너들과 함께 두 차례의 인도 여행을 포함, 오직 이 작품의 준비에만 몰두하였다. 피터브룩은 《마하바라타》를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하였는가?
피터 브룩은 자신의 저서 『빈 공간 』(1990년),『열린문』(1993년)에서 ‘성스러운 연극’을 강조하고 있다. ‘성스러운 연극’이란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연극이라고 피터 브룩은 말하였다. 과거에 제의적 기능을 담당했던 연극의 과거 역할을 되찾고, 성스러운 연극으로 하여금 이성으로 억압된 현대인의 정신적인 고립을 벗어나게 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는 연극이 삶이기 때문에 현대사회의 정신적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것은 연극이라 생각했고 원시시대에 ‘제의’의 기능을 현대의 연극을 통해 말하려 했다. 브룩은 ‘성스러운 연극’이 현대인에게 ‘보이지 않는 세계’를 보여줌으로서, 그 세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의적 연극이라고 하였다. 여기서 ‘보이지 않는 것’과‘보이는 것’에 대한 개념을 이해한다면 좀 더 성스러운 연극이라는 단어를 이해하는 데에 쉬울 것이다.
참고 자료
마이클커스토 지음, 허순자 $정명주 옮김,『피터브룩 - 현대연극의 표상』,을유문화사, 2007년.
배은영,「피터 브룩(Peter Brook)의[마하바라타 Mahabharata]공연에 나타난 연극언어(theatre language) 연구」,한양대 석사,1998.
김상교, 「피터 브룩의 연출특성에 관한 연구」,경성대 석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