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사업형태: BTL 사업
대지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28-21번지 서울대학교병원 내
지역지구: 도시지역, 제2종 일반주거지역, 중심미관지구 및 조례로 정한 지역 (대한의원, 문화재 보호법)
대지면적: 80,409,6 ㎡
주용도: 의료시설(종합병원)
계획면적: 56,487,90 ㎡
규모: 지상 1층, 지하 6층
주차대수: 655대 (장애인 주차포함)
사업형태: BTL 사업
대지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28-21번지 서울대학교병원 내
지역지구: 도시지역, 제2종 일반주거지역, 중심미관지구 및 조례로 정한 지역 (대한의원, 문화재 보호법)
대지면적: 80,409,6 ㎡
주용도: 의료시설(종합병원)
계획면적: 56,487,90 ㎡
규모: 지상 1층, 지하 6층
주차대수: 655대 (장애인 주차포함)
목차
1. BIM의 개념
2. BIM의 특징
3. 서울대학병원 지하 복합진료공간
4. 기초판단, 지하수위 분석 및 암층별 산출
5. 원지반과 계획면의 상세모델링
6. 우수, 오수의 계획
7. 조경패턴
8. 흙막이 CIP공법의 적용
9. 결론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BIM의 개념
BIM모델은 3D모델 뿐만 아니라 빌딩과 관련된 넓은 범위의 좀 더 구체적인 정보들을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형상만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그래픽 개체가 물리적인 시설물의 구성요소들과 논리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BIM을 통해 재료과 재질의 속성, 실의 속성, 물량산출, 스케줄 등의 정보와 구조, 에너지, 환경 등의 분석 자료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BIM은 건물의 라이프사이클 동안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생산하고 관리하며, 각종 도서를 즉각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통합도구로써 기하학적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를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3
Building Construction 13449-00
BIM의 특징
BIM의 활용성
BIM Data
1. 방법의 향상: 자동으로 2D도면을 생성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협업설계시 향상된 협업 환경을 제공함.
2. 일원화된 전 생애주기 동안 비용관리: 자동 생성된 전 생애주기 동안의 비용데이타로
인해 비용관리 환경의 일원화를 구축함.
3. 효율적인 시설물 유지관리: 효과적으로 시설물 정보를 처리하여 효율적인 시설물
유지관리를 수행 할 수 있음.
참고자료
· 논문
· -서울대학병원 지하 복합진료공간 임대형민자사업
· -國內建設業體의 BIM 活性化 方案硏究 (BIM 適用加算點導入을 中心으로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