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유권
- 최초 등록일
- 2011.06.10
- 최종 저작일
- 2011.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이 레포트는 점유권에 대한 모든 내용이 담겨 있는 레포트입니다. 간략하고 짜임새 있게 정리가 잘 되어 있으니 많은 분들이 이것을 보고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목차
I. 점유제도
II. 점유권의 개념(점유의 권리성)
III. 간접점유
IV. 점유의 분류
V. 준점유
본문내용
제3장 점유권
제1절 서설
I. 점유제도
1. 의의
민법은 물건을 사실상 지배하고 있는 경우에, 그 지배를 정당화시켜주는 법률상의 권리(본권)가 있느냐 없느냐를 묻지 않고서, 그 사실상의 지배 상태에 여러 가지 법률효과를 주고 있다. 점유보호청구권(204이하), 자력구제(209), 권리의 적법추정(200), 비용상환청구권(203), 선의취득(249) 등.
이것이 점유제도이다.
II. 점유권의 개념(점유의 권리성)
1. 점유와 점유권의 관계
점유란 하나의 법률사실이고, 이 점유라는 법률사실만을 불가결의 요소로 하는 법률요건이 존재하면 그 법률효과로서 점유권이 발생하게 된다(즉 법률효과가 생긴다).
2. 점유권의 성질
점유권도 일종의 물권이다. 그러나 다른 물권과는 그 법률적 성질이 크게 다르다. 일반적으로 물권(즉 본권)은, 물건을 실제로 사실상 지배하고 있느냐 않느냐를 묻지 않고서, ‘지배를 할 수 있는 관념적인 권리’이다. 이에 비하여 점유권은 현재 ‘사실상 지배’하고 있다는 데서 생기고, 사실상의 지배를 상실하면 소멸한다. 따라서 객체를 ‘지배할 수 있는 권리’는 아니다. 이처럼, 점유권과 본권은 그 본질을 달리하는 별개의 물권이다. 따라서 점유권은 있으나 본권(점유할 권리)은 없는 경우(도둑의 경우), 본권(점유할 권리)은 있으나 점유권은 없는 경우(도난당한 소유자의 경우), 양권리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소유자가 그 소유물을 점유하는 경우)가 있다.
제2절 점유
I. 점유의 개념
1. 민법상 점유
민법에서 점유는 물건에 대한 사실상의 지배만으로 성립한다(192 I). 즉 점유 = 사실상의 지배이다.
1) 사실상의 지배
(1) 개념
사실상의 지배란, 사회 관념상 물건이 어떤 사람의 지배 내에 있다고 할 수 있는 객관적 관계를 말한다. 사실상의 지배가 있는지 여부는 물건에 대한 공간적·시간적 관계, 본권관계, 타인지배의 배제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사회 관념에 의하여 합목적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