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화된 자료를 분석하여 품질문제를 해결하는 정량적인 분석방법
◎ 특성 요인도
1. 특성요인도의 정의와 특징
1) 정의 : 문제의 결과(특성)가 어떠한 원인(요인)으로 일어나는지 그 원인 관계를 살펴보고, 도식화(특성 요인도)해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을 생각하는 기법, 문제해결에 있어 제품의 특성인 결과에 요 인인 원인이 어떤 관계를 갖고 있으며 그리고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알 수 있도록 작성한 시각적 그림이다. 이것은 이시가와가 고안하여 일본의 가와사키제철에서 처음으로 품질관리에 적 용한 것으로, 이를 생선뼈 도표(fishbone diagram)라고도 한다.
2) 특징 : ① 물고기 뼈 그림
② 특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되는 요인을 큰 것부터 큰 뼈, 중간 뼈, 작은 뼈
2. 기법의 전개
1) 특성(문제의 결과)을 정한다.
2) 요인을 들추어낸다.
- BS를 실시하고 정리한 다음 중요한 것을 큰 뼈의 위치에 그려 넣음
3) 특성요인도를 완성시킨다.
- 중간 뼈, 작은 뼈를 추가
4) 중점 요인을 분석한다.
- 누락 여부 체크 / 인과 관계 체크 /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요인에 ○ 표로 체크
3. 기법의 응용
1) 공장 등 현장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찾아내려고 할 때 매우 효과적
2) 현재 사무와 영업 개선의 문제에 폭넓게 쓰이고 있음
4. 특성요인도의 예
◎ 체크시트
1. 체크시트(Check Sheet)의 정의
- 제품을 불량원인별 파레토도를 작성하거나 부품의 치수와 규격과의 관계를 조사 하는 Histogram을 작성하 려면 먼저 데이터를 수집하게 되는데 이때 간단한 체크시트만으로 필요한 정보가 정리되고, 또한 점검확인 항목을 빠뜨리지 않고 모을 수 있도록 설계된 Sheetrk가 Check Sheet이다.
2. Check하는 목적에 따라 분류
a. 불량항목 조사용 Check Sheet
b. 불량요인 조사용 Check Sheet
c. 결점위치 조사용 Check Sheet
d. 점검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