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미래
- 최초 등록일
- 2011.06.07
- 최종 저작일
- 2010.12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A+받은 레포트 입니다.
목차
1. 무엇을 말하는가?
2. 부의 물결
3. 심층 기반
4. 프로슈밍
5. 자본주의의 미래
6. 빈 곤
부의미래- 전반적 생각
본문내용
21세기의 도래를 전후로 세계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고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조차 피할 수 없는 극적인 사건들이 신문의 헤드라인을 장식한다. 예를 들면 복제양 돌리, 에이즈, 사스, 9.11테러, 이라크 전쟁, 쓰나미 등이 그것이다.
경제, 경영 분야에서도 1997~1998년 아시아의 외환위기, 유가급등, 미국재정 및 무역 적자 확대, 중국 경제의 급부상 등과 같은 많은 사건들이 있었다. 언론, 방송, 보도 매체들은 이런 경제, 경영분야 관련 기사를 보도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이야기인 부의 변화에 관한 기사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기사들에 묻혀 누락되고 있다. 또한 부는 토지, 공장, 사무실, 기계를 통한 창출, 돈에 관한 것만 말하는 것도 아니다.
미국을 포함한 여러 선진국이 지식 경제로 전환되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부의 창출에 있어 지식의 중요성은 한 단계 더 높은 차원으로 도약 할 것이고, 지속적으로 커지
면서 변신을 거듭할 것이다. 접근 또한 쉬워지는 범지구 차원의 두뇌 은행에 보다 많은 국가
들이 접속함에 따라 지식의 중요성은 전 세계로 확산될 것이다.
부는 양적인 규모의 비약적인 확대만을 가지고 혁명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부의 창출, 분배, 순환, 소비, 저축, 투자 방식에서 근본적인 변화가 수반되어야만 혁명적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유․무형의 변화도 있어야 한다. 이런 변화가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때에만 비로소 혁명적 부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다. 오늘날 이러한 변화들이 전례 없는 속도와 범세계적인 규모로 실제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 경제학은 다른 어떤 학문보다 훨씬 더 많이 현실 세계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또한 급변하는 세상에서 어떤 한 사실이 사실로서 오래가지 못한다는 것도 염려해 둬야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