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미술관 으로 본 렘쿨하스 건축의 형태적, 내부적, 프로그램적 특징
- 최초 등록일
- 2011.05.30
- 최종 저작일
- 2009.07
- 3페이지/
압축파일
-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레포트와 서울대 미술관의 각종 다이어그램, 사진 등이 첨부된 레포트 입니다.
한국에서 가장유명한 건축이론가 교수님으로부터 a+를 받은 레포트 입니다.
받아서 공부하셔도 좋겠네요
모아 미술관의 개관과 함께 대중의 환호와 미술관의 새로운 가능성이 드러난 반면 설계과정에서부터 형태, 내부공간의 효율성 등 건축계의 비판의 목소리도 컸다. 이번 에세이에서는 비평하는 시각으로부터 벗어나 건축 공간과 형태를 중심으로 렘 콜하스의 건축에 대해 접근하고자 한다.
목차
1. 불확정성에 따른 MOA 미술관 형태 발생으로 부터
2. 내부구성으로부터-
3.1 중복 순환체계
3.2 경사판과 경계의 흐림
3. 마감재로부터 - 비 물질성
4. 결론
본문내용
--------------------------------------------------------------------
모아 미술관의 개관과 함께 대중의 환호와 미술관의 새로운 가능성이 드러난 반면 설계과정에서부터 형태, 내부공간의 효율성 등 건축계의 비판의 목소리도 컸다. 이번 에세이에서는 비평하는 시각으로부터 벗어나 건축 공간과 형태를 중심으로 렘 콜하스의 건축에 대해 접근하고자 한다.
--------------------------------------------------------------------
1. 불확정성에 따른 MOA 미술관 형태 발생으로 부터
“시간의 비가역적인 흐름 속에서 다양한 미립자들의 운동이 하나의 형태를 발생시키고 일단 발생한 형태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The Architecture of Rem Koolhass, p116
모아미술관은 4년에 걸쳐 최종 3안으로 수렴되었다. 최종 3안에 걸쳐 나타난 형태의 발생 과정을 보면 대지를 들어 올려 판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판은 불확정성의 원리에 따라 1차 계획안에서 3차 계획안 까지 계속적인 변화를 겪었다.
제 1설계안에서는 현재의 지형보다 대지의 고저차가 큰 두 개의 언덕을 브릿지 형태로 연결하고 브릿지 하단 부분을 비워내어 기존의 지형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 큰 개념이었다고한다. 여기서 하나의 수평 판은 내부적으로도 관여한다.
참고 자료
참고문헌
1. OMA, Architecture of Lem Koolaas
2. Ibid, p36
3. 박정연, 렘 콜하스의 서울대 미술관에서 나타나는 건축적 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27권 제1호
4. 정만영, 연속성을 기준으로 한 사례분석
5. 천의영, 반복과 차이: 렘 콜하스와 서울대 미술관 PLUS 0512
압축파일 내 파일목록
서울대미술관.hwp
다이아그램/Thumbs.db
다이아그램/circulation.jpg
다이아그램/process.jpg
다이아그램/process2.jpg
다이아그램/program.jpg
다이아그램/스케치.jpg
다이아그램/재료1.jpg
다이아그램/재료2.jpg
다이아그램/재료3.jpg
도면/Thumbs.db
도면/단면.jpg
도면/입면.jpg
도면/평면.jpg
모델사진/1.jpg
모델사진/2-1.jpg
모델사진/2.jpg
모델사진/3.jpg
모델사진/4.jpg
모델사진/5.jpg
모델사진/6.jpg
모델사진/Thumbs.db
보고서도판/Thumbs.db
보고서도판/도판1.jpg
보고서도판/도판2.jpg
실내사진/1.jpg
실내사진/2.jpg
실내사진/3.jpg
실내사진/4.jpg
실내사진/5.jpg
실내사진/6.jpg
실내사진/7.jpg
실내사진/Thumbs.db
실내사진/lecture hall.jpg
외관사진/1.jpg
외관사진/10.jpg
외관사진/2.jpg
외관사진/3.jpg
외관사진/4.jpg
외관사진/5.jpg
외관사진/6.jpg
외관사진/7.jpg
외관사진/8.jpg
외관사진/9.jpg
외관사진/Thumbs.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