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일지 : 2010년 4월 7일 수요일
실습장소 및 병동 : 한방병원 3병동
Duty : Evening 2:30 ~ 9:30
한방진단검사 및 치료 기기의 특성, 진단검사나 치료 방법 및 절차
< 구법 (灸法;뜸) >
1. 개요
구법(灸法)은 쑥으로 만든 애주(艾炷)나 다른 약물을 혈자리에 놓고 태워서 뜨거운 기운을 살 속으로 투입 시켜 경락의 작용을 통해 기혈을 유통시킴으로써, 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온열적 자극치료법으 로 한의학적인 외치법(外治法)의 하나이다.
2. 목적
혈자리의 자극을 통해 경락과 음양의 기능을 조절하여 비정상적인 병리상태를 회복시킬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3. 작용
- 억제작용 : 진통, 진정작용이 있다.
- 흥분작용 : 지각신경, 자율신경이 저하되었을 때 그 신경이 지배하는 기관과 조직의 기능을 돕는다.
- 유도작용 :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 병적 삼출물 등의 순환과 대사산물의 배설을 촉진하며 각 기관의 기능을 조절한다.
- 반사작용 : 혈자리에 대응하는 내장, 혈관, 선 및 각 기관에 영향을 준다.
- 면역작용 : 병원균이나 독소에 이겨낼 수 있는 항체를 만들어 저항력을 갖게 한다.
- 증혈작용 : 혈색소치를 증가 시킨다.
<중략>
진단(診斷) 및 치료(治療)와 관련된 간호 중 느낀 점
물리치료는 양방과 한방에서 모두 쓰이고 있다. 물리치료 자체가 양방이나 한방에 뿌리를 둔 것이 아 니고 대체요법에서 시작된 것이기 때문이다. 생각해보면 한방, 양방 둘다 사람을 대상으로 하듯이 물 리치료도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같은 목적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된다.
참고자료
· 1. 진단기기실 매뉴얼
· 2. 방준규 외 4명 / 원저 :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의 양도락 특성에 관한 연구
· / 대한침구학회지 Vol.23, No.6 / 2006
· 3. 신경림외 / 보완⋅대체 간호중재 / 현문사 / 2007
· 4. www.hamsoa.com
· 5. http://herbalclinic.co.k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