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6 군사쿠데타의 배경과 성격
- 최초 등록일
- 2011.05.24
- 최종 저작일
- 2011.05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관련 주제에 맞게 성의있게 작성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머리말
II. 5.16의 배경
가. 군부적 요인
1. 군부의 형성
2. 2공화국의 군부통제 실패
3. 5.16의 군부 내적 원인
나. 장면정권의 붕괴요인
1. 정치권 내부의 갈등
2. 경제적 요인
다. 미국의 개입문제
1. 경제적 개입
2. 이데올로기적 영향
III. 박정희의 경력과 평가
가. 박정희의 경력
나. 박정희에 대한 평가
IV. 5.16의 성격
가. 혁명과 쿠데타의 개념
나. 5.16의 성격
1. 원인적 측면
2. 결과적 측면
V. 맺음말
본문내용
I. 머리말
노태우를 마지막으로 이른바 TK지역의 집권이 끝나고 난 후부터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박정희에 대한 향수가 조금씩 머리를 들기 시작했다. 지난번 <고대신문>의 설문조사에서 가장 복제하고 싶은 인간으로 백범 김구와 테레사 수녀에 이어 3위를 차지하는 결과가 여러 일간지에 소개되면서부터 거의 전국민적인 열풍으로 번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박정희가 주도했던 5.16의 발생배경과 박정희의 개인적인 삶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5.16의 구체적인 성격을 규명하여 보고자 한다. 일시적으로 가장 큰 변화를 가져왔던 이를 통해서 진정 박정희가 지금의 신드롬을 일으킬만한 인물인지, 아니면 박정희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에 의한 판단이라기보다는 김영삼이 정권말기로 가면서 거의 지배력을 잃고 표류하는 모습에서 그의 탁월한 지도력에 대한 그리움에 기인하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II. 5.16의 배경
가. 군부적 요인
1. 군부의 형성
1945년 해방이 되자 건군에 뜻을 둔 많은 인사들은 저마다의 군 경력과 연고를 중심으로 군사단체를 조직하기 시작하였다. 그 중심세력은 일본군출신의 장교들, 만주군 출신의 장교들, 그리고 중국군 출신과 광복군 출신들이었다. 그러나 정치적 구심점을 제시할 뚜렷한 주도세력이 없었기에 우후죽순 격으로 난립되어 1945년 11월 군정청에 등록된 군사단체의 수효는 무려 30여 개에 달하였다.
참고 자료
강인석, [육사8기생] {4.19그이후} 동아일보사 1984. 金東椿 외,
[5.16쿠데타와 4.19세력의 분화] {월간중앙} 1990년 6월호 김상우,
{박정권 18년 그 권력의 내막} 동아출판사 1986. 김세진,
[한국군부의 성장과정과 5.16] {1960년대} 거름 1984. 김영국 외,
{정치학개론} 박영사 1980 김영명,
{한국현대정치사 --정치변동의 역학--} 을유문화사 1992. 김정곤,
[5.16군부쿠데타의 발생배경과 원인]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김정원,
[군정과 제3공화국] {분단한국사} 동녘 1985. 김호진,
[군부 쿠데타 이론 : 집정관체제론] {한국정치체제론} 박영사 1990 동아일보 1960년 8월 13일자 동아일보 1961년 3월 4일자 박세길,
[인간 박정희, 변절과 권력욕의 화신] {역사비평} 21호 1993 여름호 申命淳,
[5.16은 우리정치에 무엇을 남겼나] {신동아} 1986년 6월호 안희수 외,
{정치학} 대왕사 1993 여현덕,
[장면정권의 붕괴와 미국의 역할] {역사비평} 1992년 여름호 유재일,
[한국전쟁과 반공이데올로기의 정착] {역사비평} 1992년 봄호 이상수 외,
[박정희 유령이 떠돌고 있다.] {한겨례신문} 1997. 5. 13일자 이상우,
{제3공화국 --5.16에서 10월유신까지--} 중원문화 1993. 임건언, {한국현대사} 삼민사 1986. 조갑제,
[남로당과 박정희 소령 연구] {월간조선} 1991. 차상철,
[미국의 냉전정착과 한국] {역사비평} 1992년 봄호 한국정치연구회,
{한국정치사} 백산서당 1990. 한국현대사연구회,
{한국현대정치사} 도서출판 공동체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