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교육과 사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2010년도에 쓴 레포트 입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세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공교육과 사교육의 개념
1) 공교육과 사교육
2) 공교육비와 사교육비
2. 실태 및 문제점
1) 공교육
2) 사교육
3. 해결방안
1) 학교현장에서의 노력
2) 사회적 노력
4. 공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례
1) 방과후학교의 사례
2) 제도적 노력 사례
3) 외국의 사례
Ⅲ.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더 나은 미래를 꿈꾸는 곳에서는 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특히 우리나라는 예부터 선비를 이상적 인간상으로 여기며 높은 학식을 가진 것을 자랑으로 여기는 문화를 가졌다. 뿐만 아니라 근대에 급격한 정치변화, 경제발전을 이루면서 사회의 각 분야에서 우수한 인력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욕구가 높아졌다. 그러나 높아지는 교육에 대한 욕구는 학벌을 중시하고 교육을 사회적 성공의 수단으로 여기는 풍조와 결합하여 정규교육 이외의 사교육을 발생시켰고, 현재 사교육은 경쟁적 교육구조로 인해 더욱 조기화, 다양화 되고 있다. 대중매체에서는 사교육을 광고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고, 최근에는 사회의 교육열을 반영하여 ‘공부의 신’이라는 드라마까지 방영하였다. 교육의 욕구는 높아져 가고 다양하게 발전하지만 공교육과 사교육의 대립되는 이면적이 면이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는 공교육과 사교육의 각각의 개념에 대해서 파악해 보고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공교육과 사교육의 개념
1) 공교육과 사교육
① 공교육
공교육이란 일반적으로 국가가 국민을 대상으로 일정기간동안 무상으로 실시하는 교육을 뜻한다.
② 사교육
정규 학교교육과정에서 제공하는 공교육을 제외한 사적인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서비스를 말한다. 초중고학생뿐이 아니라 대학생과 일반인이 참여하는 모든 사적 교육서비스를 포함한다.
2) 공교육비와 사교육비
참고 자료
1. 김미숙, “사교육 없는 공교육 - 사교육 의존도 완화를 위하여”, 교육개발, 2009
2. 김동섭,“ 공교육과 사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공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고려대 교육대학원, 2009
3. 허명호,“ 공교육의 위기와 학교교육 활성화방안 연구: 공교육과 사교육의 문제점중심”, 한양대 교육대학원, 2004
4. 남해진,“초등교사와 학부모의 공·사교육에 관한 인식 비교”, 경인교육대 교육대학원, 2009
5. 박은주,“ 학생들의 사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009
6. 우남희 외 2명, “조기교육/사교육”, 교육인적자원부, 2009
7. 남창우, 「사교육비 폐해 대책 시급하다」, 『서울경제』, 2010년 4월 4일자.
8. 김청연, 「“교육방송 수능출제 70%까지 올리겠다” 공교육 포기 선언」, 『한겨례』, 2010년 3월 28일자.
9. 신상윤, 「경제 어렵고 전쟁 벌여도 작년 사교육비 3.4%↑」, 『헤럴드경제』, 2010년
2월 23일자.
10.송화선, 「막 오른 입학사정관제」, 『동아일보』, 2009년 9월 1일자.
11. 류우종, 「“아이들 천국인 것 같아요”」, 『한겨레 화보 』, 2010년 3월 19일자.
12. 최은숙, 「신나는 학교…살아나는 공교육 방과후교실-파격적 특기·적성 수업…학교가 바뀌고 있다」, 『위클리공감 』, 2010년 3월 5일자.
13. 통계청 http://www.kostat.go.kr (2009년 사교육비 조사결과)
14. 강방식, 「[시사이슈로 본논술] EBS가 공교육 살릴 해결사?… 사교육 원인부터 파악해 야」,『조선닷컴』, 2010년 4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