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영재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야외수련활동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창의성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노인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또래집단상담교육, 시민교육 프로그램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1.04.28
- 최종 저작일
- 2011.04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500원
소개글
전환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영재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야외수련활동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창의성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노인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또래집단상담교육, 시민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분석
목차
Ⅰ. 전환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1. 구성요소
2.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단계
1) 학교서비스
2) 전환과정 계획
3) 사후 중등 서비스
3.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Ⅱ. 영재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1.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2.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
3.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개선 방향
Ⅲ. 야외수련활동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1. 필요성
2. 목적
3. 효과
Ⅳ. 창의성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1.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2. 창의성교육의 목적
3. 창의성의 구성 요소
1) 창의적 사고 능력
2) 창의적 성향
4. 프로그램 모형
Ⅴ. 노인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Ⅵ. 또래집단상담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1. 의미
1) 또래 집단
2) 집단상담
2. 기본 방향
3. 추진 내용
1) 상담의 준비(시간, 장소, 자료)
2) 상담의 과정
4. 기대효과
Ⅶ. 시민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전환교육(수업, 학습)프로그램
1. 구성요소
1983년 P.L. 98-199의 626장을 실시함에 있어서 책임 기관인 특수교육 및 재활서비스국은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세 가지 가정을 두었다. 첫째, 사후 학교서비스의 복잡성 때문에 모든 장애학생들의 효과적인 전환은 적절한 지역사회 기회와 서비스 협력이 개개인적 환경과 욕구에 부합되도록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전환교육 프로그램은 장애학생들에게 초점이 된다는 것이다. 이는 학교를 졸업한 모든 장애인들에게 성인 서비스와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마다 약 250,000에서 300,000의 장애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한다. 이 장애학생들이 고용을 획득하기 위한 특별한 서비스는 장애의 다양한 형태와 정도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다. 셋째,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학교를 졸업한 후에 즉각적으로 또는 사후 중등교육 기간동안, 아니면 직업서비스 기간이 끝난 후에 직업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즉 지속적인 고용의 가정이다.
2.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단계
1) 학교서비스
교과과정은 첫째, 통합, 둘째, 지역사회 중심, 셋째, 적절한 교수학습으로 특징 지울 수 있다. 먼저 통합은 장애학생들은 비장애학생들과 통합된 학교현장에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 교사는 자기학급에서 어느 정도로 통합될 수 있는지를, 그리고 사회통합을 조성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해 연구해야 한다. 두 번째로, 지역사회 중심 교수인데 이것은 가정, 고용, 지역사회의 큰 영역안으로의 학교의 통합을 말한다. 이 통합은 최소한 제한적 환경 안에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지역사회 현장에서 필요한 효과적인 기능 때문에 필요한 지역사회 생활기술에 초점을 둔다. 예를 들어, 산수는 학습이나 경쟁 작업에서 보다 대중음식점에서 점심을 사 먹을 때 더 중요하다. 중증장애학생들은 일반화에 어려움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 중심 교수는 일반화 문제를 제거하도록 돕는다.
참고 자료
김춘일(1999), 창의성 교육, 그 이론과 실제, 서울 : 교육과학사
김경애(1990), 노인교육의 이론적 기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문은영·윤진(1994), 또래의 수용이 청소년 초기의 고독감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박은영(2000), 체제적인 영재교육을 위한 Renzulli의 전교 심화학습 모형(SEM)의 개선방안, 영재교육연구
정동일(1999), 현장실습 중심의 전환직업교육 프로그램이 정서장애 고등부 학생의 직업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현장연구논문
정완호·권치순·김재영·임채성(1996), 초등학교 자연과에서의 야외수업실태와 개선 방안 및 지도 방략, 초등과학교육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