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친화적 주거환경
- 최초 등록일
- 2011.04.26
- 최종 저작일
- 2010.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자연친화적 주거환경(주거단지)에 대한 레포트.
각종 논문 및 인터넷 사이트 활용(블로그, 건교부)
목차
Ⅰ. 서론
- 자연친화적 건축의 개념이 나타난 배경
Ⅱ. 본론
1. 자연친화적 주거환경의 개념
1.1 자연친화적 주거환경의 정의
1.2 자연친화적 주거환경의 목적 및 목표
1.2.1 자연친화적 주거환경의 목적
1.2.2 자연친화적 주거환경의 목표
본문내용
Ⅰ. 서론
- 자연친화적 건축의 개념이 나타난 배경
시대가 지날수록 사회가 발전할수록 사람들의 의식수준은 높아지고 환경에 대한 관심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직면한 에너지 고갈 등의 문제와 환경오염의 심각성도 자연친화적 건축이 나타나는데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기존의 주거건축들은 과다한 에너지를 소비하거나 실내외의 환경을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거나 주위환경과의 조화를 이루지 못해 여러 문제를 야기시켰다.
최근에는 주택이 단순히 사람이 사는 공간이 아니라 건강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환경아파트’, ‘바이오 주택’ 등의 이름으로 상품화된 주택들이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국내에서 공급되는 주택들은 자연친화적 주거환경의 본질과는 맞지 않게 일부 지나친 홍보전략적 차원에서 주거환경을 기획하는 경향이 있다. 깨끗한 공기와 물을 공급하고 쾌적한 공간을 제공한다고하여 환경적 차원이 아닌 ‘공기정화장치’, ‘식수전용 정화시스템’ 등의 기계, 첨단설비적 차원으로 제공함으로써 오히려 반 환경친화적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이다.
아직 국내에서의 자연친화적 주거환경에 대한 개념정리가 미흡하고, 그 계획이 단편적인 대안에 머물고 있는 상황에서 환경문제에 대응하고 자연친화에 대한 거주자 욕구에 본질적으로 부응하는 주거환경의 개념을 정립하고 설계기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참고 자료
- 참고문헌
이윤하, 지속가능한 생태적 리모델링, 2005
이상옥, 환경친화적 건축의 디자인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2006
이정형, 일본에서의 주택, 건축분야에 친환경시책 동향 고찰, 2005
김귀곤, 생태도시와 지속가능한 개발, 환경과 생명 여름호, 2004
류지원, 공동주택의 환경친화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정규동, 친환경공동주택단지의 계획특성분석, 대구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이경희 외, 친환경건축개론, 가문당, 2005
안혜진, 환경친화적인 주거건축의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6
- 인터넷 사이트
http://huri.jugong.co.kr/ecohouse
http://blog.naver.com/parang301
http://blog.naver.com/조무290
http://www.gunnet.co.kr/service/law/data-env.htm(건설교통부 건설환경과)